AKR20150829027300039_01_i.jpg
1953년 8월30일 마크 웨인 클라크(Mark W. Clark·1896∼1984) 유엔군 총사령관이 북방한계선(NLL)을 설정했다. 동해는 군사분계선(MDL)의 연장선에, 서해는 38선 이남인 서해 5도(백령도·대청도·소청도·연평도·우도)와 북측 황해도 사이에 선을 그었다.

이는 같은해 7월27일 정전협정 당시 육상의 군사분계선에는 합의했지만, 해상경계선에 대해서는 합의하지 못했기 때문에 취한 조치였다. 연안수역의 범위를 두고 유엔군 사령부는 3해리(5.6㎞), 북한은 12해리(22㎞)를 각각 주장한 게 문제였다. 결국 양측은 "연해의 섬 및 해면에 관한 통제권은 1950년 6월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하되, 서해 5도는 유엔군 사령관 관할 아래 둔다"는 단서규정을 두는데 그쳤기에 클라크 총사령관이 북방한계선을 별도로 설정한 것이다.

당시 유엔군사령부는 이 사실을 한국 해군에만 전달하고 북측에는 공식 통보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후 20년간 북측이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 채 사실상 NLL을 인정하는 태도를 보였기에 해상경계선으로 굳어지는 듯했다.

북한이 북방한계선을 문제 삼기 시작한 것은 1973년 12월. 북측은 "황해도와 경기도 경계선의 연장선 북쪽 수역은 우리 해역"이라고 주장했다. NLL 논란은 1990년대 들어 남북 어민 간에 서해 5도 인근 수역의 꽃게를 두고 쟁탈전이 벌어지면서 군사 충돌로 이어졌다. 1999년 6월15일 제1연평해전, 2002년 6월29일 제2연평해전, 2009년 11월10일 대청해전이 잇따라 벌어졌다. 북한은 제1연평해전 직후인 1999년 9월에 NLL보다 훨씬 남쪽에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을 일방적으로 선포하기도 했다.

남북은 2004년 6월 서해상의 우발 충돌을 막기 위해 무선통신과 깃발 등을 사용하기로 합의했고, 2007년 10월4일에는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서해 공동 어로수역을 설정하기로 합의했지만, 실제로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남측에서 'NLL 포기 논란'이라는 정쟁만 불러일으켰다. 연합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