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시 다문화가족 지원협의회 경우

어찌보면 평범한 단신기사가 앞으로의 지자체 다문화 구성에 관한 과제를 예고하고 있다. 군포시가 관내 외국인 주민 1만명을 초과해 지역의 통합과 화합을 촉진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는 소식이다. 사정이 이러하자 군포시는 발빠른 대응을 보였다. 지역 내 외국인 거주민이 1만명을 넘어서자 통합과 화합을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군포시는 ‘2015년 외국인 주민 및 다문화가족 지원협의회’이라는 틀을 구성하고 부시장 주재로 첫 회의를 개최해 적극적인 몸짓을 주민들에게 보이고 있다.

물론 앞서 얘기했듯이 이번 첫 회의는 군포에 실제로 살고 있는 외국인 주민이 올해 1월1일부로 1만명을 초과한데에 기인한 것으로 이제 우리 지자체의 관련 기관 및 단체들이 긴밀한 협조체제를 연결해 나가지 않으면 벌어질 수도 있는 여러 우려를 불식하기 위함일 수 있다. 그래서 여러 현장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향후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라는 군포시의 설명은 설득력 있어 보인다. 생각해 볼 때 이러한 군포시의 대응은 구체적이고도 실용적이다. 왜냐하면 늦은 감이 있지만 서서히 증가하고 있는 관내 외국인 주민들의 수를 감안해서도 그렇다.

우리는 이번 군포시에서 열린 지원협의회에 내용에 사실상 주목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학계, 경찰서, 교육청, 고용센터, 기업인, 의료기관 대표 등 10명의 위원이 참여했고 시가 추진 중인 외국인 주민 및 다문화가족지원 사업에 대한 설명이 진행됐는데 여기에 참여 기관·단체들은 각자 실시 중인 관련 사업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면서 서로의 서비스 연계 협력 방안이 구체적으로 논의된 일이다. 아마도 이러한 유기적인 협조체제가 실생활에 접목되면 얻을 수 있는 수확은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실상 경기도의 일부 지자체에는 매년 수 천명 이상의 외국인이 유입되고 있다. 그러니까 한시라도 이러한 유기적인 협조체제가 어떻게든 움직여야 지역사회 통합 방안과 함께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얘기다. 물론 이런 얘기들이 탁상행정식 뜬구름 잡는 격으로 끝나서는 아까운 시간과 비용만 버린다. 다문화 시대에 빠른 대응이 얼마나 지역사회에 큰 밑그림이 되는지 이웃 일본의 경우만 봐도 알 수 있다. 세계는 이제 글로벌시대로 근로인구가 점차 대규모로 이동하고 있다.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를 단박에 줄이자니 당장 일 할 인력이 모자라고 마냥 받아들이기도 곤란한 처지에 있다. 하지만 지금이라도 이러한 다문화시대에 지자체가 구체적인 밑그림을 그려놓으면 그 위험요소는 훨씬 반감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중부일보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