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된 금융사고 등 내부 자정시스템이 무너져 새마을금고의 관리감독부처를 옮기려는 움직임 속에서 새마을금고가 대규모 연수원 건립을 추진하자 논란이다.

일부 출자자들이 제주와 천안 등에 기존 연수원이 있어 새 연수원 건립보다는 다른 서비스를 늘리는 등 내부자정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어서다.

16일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새마을금고의 금융사고는 총 32건으로 사고금액은 2011년 36억 원, 2012년 31억8천만 원, 2013년 203억9천만 원, 2014년 47억 원, 2015년 6월말까지 9억8천900만 원으로 총 328억 원에 달했다.

특히 최근 5년 동안 새마을금고의 각종 금융사고 반복과 부실한 대출로 인해 새마을금고중앙회가 보증채무를 이행해 주고 결손처리한 것만 7천억 원(2015년 기준)이다.

부실대출 증가와 여유자금손실로 인해 불량금고 대신 갚아준 대위변제금은 34곳에 2천55억 원, 채무자의 채무불이행 등으로 부실채권으로 분류돼 회수 불가능한 판정을 받아 결손처리된 것만 4천985억 원이다.

반면 신한은행과 국민은행, 우리은행 등 3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금융사고 금액은 각각 22억9천200만 원, 19억3천만 원, 16억 원에 그쳤다.

지난해 말 기준 신한은행의 총자산은 313조 원, 새마을금고중앙회 총자산은 120조 원으로 새마을금고의 자산규모가 3배 가까이 적음에도 금융사고 발생금액은 은행보다 훨씬 많다.

이처럼 1980년대에 볼 수 있었던 사건사고가 지금도 빈발해 자정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정치권에서는 예금과 대출 등 은행업을 하면서도 협동조합이라는 이유로 행정자치부의 감독을 받아 금융감독의 사각지대에 놓인 현행법을 개정하는 안건을 발의했다.

상황이 이렇자 새마을금고의 고성연수원 건립이 논란이다.

새마을금고는 920억 원을 들여 2019년 완공을 목표로 고성군 토성면 56만8천549㎡ 터에 지하 1층, 지상 5층(숙박시설 130실, 회의실 9실) 규모로 고성군연수원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연수원은 매년 9만여명의 교육과 휴양을 목적으로 활용되며 새마을금고는 연간 약 50억원의 운영비가 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미 새마을금고는 5개의 생활동과 대운동장과 테니스 코트 등의 시설을 갖춘 천안연수원과 또 디럭스(16평)·스위트(22평)·럭셔리스위트(30평)의 객실, 축구장, 농구장, 야외 이벤트장 등으로 구성된 제주연수원을 갖추고 있다.

고성연수원이 건립되면 연수원이 3곳으로 늘어난다.

이때문에 일부 출자자들은 이미 다른 곳에 비해 많은 연수원을 갖추고 있는데 다시 연수원을 늘리는 것보다는 서민 금융기관이라는 새마을금고의 본질에 맞게 내부 자정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먼저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고성연수원은 입찰 단계에 아직 가지 않았고 이제 설계 시작단계”라며 “연수원 겸 회원들이 이용할 수 있는 휴양시설을 짓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남춘기자/baikal@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