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평야, 김포공항(서울 방화동), 강화를 가기 위해 지나친 곳.

김포에 대한 개인적인 기억이다.

이런 김포가 8월 현재 인구 37만5천939명(7월 외국인 1만7천355명 포함)으로 많이 달라졌다.

이곳에 대한 첫인상은 김포시청 정문에서의 ‘시위’였다.

눈으로 본 첫인상이 ‘시위’였다면, 인터넷을 통해 본 첫인상도 역시 ‘시위’였다.

김포시청 자유게시판의 ‘장례식장 허가 취소’ 글과 역시, 전자민원창구에도 같은 글들이 수 십여 건이 올라와 있었다.

김포시청 정문 앞에서는 지난 5월부터 풍무동 지역 주민들이 ‘장례식장 건립 허가를 취소하라’며 오늘까지 시위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3일에는 주민들이 촛불 대신 휴대폰 불빛을 들고, 시청에서 사우사거리까지 약 1km 구간을 왕복하며 시위를 벌였다.

주민들은 시 허가로 인해 지금은 장례식장으로 건립되겠지만, 나중에 화장장으로 바뀔 것이라는 주장이다.

시는 정상적인 절차로 장례식장 건립 허가가 난 것이고, 업체가 공증을 한데다 화장장이 들어설 수 없다는 입장이다.

5개월여 동안 만날 수 없는 평행선을 긋고 있다.

지난달 김포시의회 임시회에서 갈등조정위원회를 구성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이마저도 위원회 회의 진행시 방청인원 문제로 의견이 조율되지 않아 결론에 도달하지 못했다.

대규모 아파트가 들어서고,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등, 김포 지역은 수도권 지역 중 개발이 진행형인 곳 중 하나다.

인구가 유입되면서 교통, 교육 등 기반시설의 시급한 조성과 북쪽 지역의 무분별한 영세 제조업체의 난립으로 인한 환경 오염 등 풀어야 할 숙제가 산적해 있다.

주민 대표와 시가 나서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묘안을 하루빨리 찾고, 부정적인 첫인상을 씻을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김범수 기자 erickim@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