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위험시설 많은 인천지역… 참사 이어질 듯

▲ 수도권 활성단층인 왕숙천단층의 단층핵과 단층손상대가 발견된 지난 24일 남양주시 한 공사장에서 강원대 지질학과 이희권교수와 연구팀이 지질조사를 하고 있다. 이날 경기도 수원에서는 지난 1978년 국내 지진 관측 이래 처음으로 지진이 발생했다. 노민규기자
인천에서 대형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최근 수원에서 지진이 발생하는 등 인천 및 수도권 지진발생에 대한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인천시는 지진에 대한 대비가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수도권 일대 활성단층을 조사중인 이희권 강원대 지질학과 교수는 “인천에 강화와 옹진을 중심으로 지진이 빈번하다는 것은 지각활동이 활발하다든 뜻이다”라며 “해안에 단층이 있는지 정밀조사를 진행해 단층이 어디까지 이어져있고 어떤 피해를 입힐 수 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1978년 이후 인천 등 수도권에서 총 48회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중 65%인 31회가 인천 옹진·강화 주변에서 일어났다.

특히 지난 2013년 백령도 남쪽에서는 규모 4.9의 지진이 발생했고 앞서 지난 2003년에도 백령도 서남쪽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질학계에서는 한반도 단층 구조상 인천을 포함, 전국에서 리히터 규모 6.5~7.0의 지진이 발생할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다.

규모 6.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면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아파트 등 건축물이 무너질 수 있다.

그러나 인천은 지진 발생시 임시거주시설과 응급구호품이 턱없이 부족한데다 재난위험시설도 많다.

인천지역 10개 군·구에 비축된 재해구호물자세트는 응급구호 1천644개, 취사구호 768개, 모포 340개에 불과하다.

또 이재민들이 임시 거주할수 있는 학교, 관공서 등 시설도 445곳 밖에 없는 등 최대 수용인원이 20만명이다. 인천 인구 300만 중 6.6%만 대피할 수 있는 셈이다.

가장 큰 문제는 임시 거주지의 안전을 확보할 수 없다는 점이다.

지난 8월 시가 임시주거시설에 대해 전수조사한 결과를 보면 내진설계가 된 시설은 20% 정도다.

이와 함께 재난위험시설 등급에 속하는 시설도 D등급 42곳, E등급 3곳 등 45곳이다. 이곳은 경미한 지진에도 큰 사고가 불가피한 지역이다.

시 관계자는 “재해구호세트는 거점지역인 파주에서 더 확보할 수 있다”며 “지진이 빈번한 옹진등 섬에도 민간기업과 협약을 맺고 물자를 공수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주재홍기자/jujae84@joongboo.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