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의회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공무국외연수를 다녀왔다.

7박 9일간의 짧은 미서부 의정연수 기간동안 다양한 것을 보고 느꼈지만 그 중에서도 유심히 보게 된 것은 시민들의 주거형태다.

주거는 일정한 곳에 머물러 삶. 또는 그런 집을 의미한다.

머물러 산다는 의미는 그만큼 우리가 생활 속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공간이라는 얘기다.

최근 각종 개발로 신도시가 들어서고 이 과정에서 주변 환경들도 많이 변화되고 있다.

미서부 의정연수기간 동안 눈에 들어온 모습들은 여러가지 생각을 들게 했다. 당연히 국가가 다르고 문화 달라 주거형태 역시 차이를 보인다고는 하지만 인상적인 부분이 눈에 띄었다.

대도시가 형성된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도로변 또는 산기슭에 가가호호 형태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고 있었으며 많은 주택들이 지대가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었다.

지대가 높은 지역에 주택이 위치한 것은 약탈자로부터 자신들이 키우는 동물과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오랜 관습에 따라 자연스럽게 일반화되었으리라 유추되며 고지대 주택 안팎에 나무를 식재한 것 또한 산사태 등 행여 있을지 모를 자연재해에 대비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주택 주변에 나무등을 식재하고 녹지공간을 조성한 사례는 비단 고지대에 국한하지 않고 평지에 위치한 주택들도 같은 모습이었다.

우리나라도 예전에는 주택에 넓은 마당과 나무를 함께 식재하였으며 농촌 지역은 아직도 유사한 주택양식을 보이고 있지만 도시화된 지역은 빌라나 고층아파트 위주로 건축양식이 바뀌어 설령 단독주택을 짖는다 하더라도 불필요하게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사례는 쉽게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녹지공간을 최소화한 주택건축 양식은 녹지공간 부족사태를 초래했고 주택사업자나 지방자치단체는 시민들의 녹지공간 제공을 위해 택지개발지구내 또는 도심 곳곳에 공원을 조성하고 유지관리에 필요한 경비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민들의 혈세로 충당해 오고 있다.

만약, 주택을 건축하면서 필요한 녹지공간을 함께 조성하고 주택소유자로 하여금 관리비용을 부담토록 한다면 이를 유지하기 위해 시민의 혈세를 부담하는 사례도 없어질 뿐 아니라 수혜자 부담원칙에도 부합될 것이다.

당연히 도시미관 역시 자연과 조화된 형태의 주거 공간 형성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이 든다.

특히, 양주시는 정부의 그린벨트 정책에 따라 지역 곳곳이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돼 시민의 재산권행사에 많은 제한과 불이익을 받고 있는 지역으로 양주시 스스로 녹지공간 자족도시 모델의 개발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양주시에서는 현재 옥정, 회천, 광석 택지개발지구와 양주역세권 개발을 비롯해 크고 작은 택지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지역으로 별도의 유지비가 소요되는 공원조성은 최소화하고 주택과 어루어진 녹지공간을 주택사업자 스스로 조성하도록 유도해 보는 것도 검토해볼 만한 일이라 생각한다.

오랜시간이 필요한 부분일 수도 있다. 개발로 인한 인구유입 효과와 각종 시설들이 갖춰진 상업지구 등이 들어서 우리 생활 속 편리함을 추구해야 한다는 생각도 있을 수 있겠지만 이번 연수에서 우리가 잊고 있었던 부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언제가 아이들이 흙을 만질 수 있는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 개발로 인해 환경적 변화가 가져다 준 결과다. 다시 생각하자.

물론, 자연을 담은 택지개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양주시의 노력과 함께 중앙정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 우리의 후손이 자연과 함께 어울려 살 수 있는 도시를 물려주기 위해서는 한 번쯤 도전해 볼 과제가 아닌가 제안하며 연수소감을 마치고자 한다.

안종섭 양주시의회 의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