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만 인천의 그림자 '신·구도심 양극화' (上)도심 빈집이 늘고 있다

▲ 8일 인천시 남구 주안동 한 다세대주택 밀집지역에 위치한 한 폐가. 집안 곳곳에는 각종 폐기물 등이 넘쳐났고 외벽에는 쓰레기투기를 금지하는 안내문과 '담장붕괴' 위험을 알리는 경고문이 붙어 있다. 윤상순기자

인천이 인구 300만을 돌파하고 전국에서 최대면적의 도시로 양적 성장을 이뤘지만 안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곪아 있는 부분이 있다.

경제자유구역 등 신도시 개발에도 불구하고 구도심의 도시정비와 장기미집행 시설에 대한 개발이 제대로 되지 않은 채 방치돼 주택매매는 끊겼고 주민들이 빈집을 두고 떠나는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빈집이 증가하는 것은 구도심의 도시정비와 장기미집행 시설에 대한 개발이 제대로 되지 않은 채 방치돼 주택매매가 되지 않는 게 가장 큰 원인이다.

전국 빈집은 106만9천가구로 사상 처음 100만가구를 넘었다.

인천지역 빈집도 지난해말 4만7천여 가구에 달하며 2050년에는 15만여 가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인천시가 도시재생사업과 중·장기적인 계획을 통해 빈집 발생과 슬럼화를 막고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상)도심 빈집이 늘고 있다

인천시청에서 불과 2.5㎞ 떨어진 남구 주안동은 도심인데도 불구하고 ‘폐가촌’을 연상시키는 곳이다.

다세대 주택이 밀집한 곳을 지나 계단을 20여m 올라가니 폐가를 방불케 하는 빈집 4~5채가 모여있다.

올라가는 계단 옆으로는 담벼락이 무너져 벽돌이 길을 막고 있고 구멍난 벽은 임시로 나무 판자로 덧대어져 있다.

그나마 휘어진 철제 펜스로 무너진 벽을 막아 놓은 것이 더 위태로워 보였다. 담장을 곳곳에는 위험을 경고하는 ‘담장붕괴’ 경고판이 벽에 붙어 있었다.

또 쓰레기와 폐자재들이 널려있고 쓰레기 투기를 막기 위한 CCTV 촬영 경고도 눈에 띄었다.

주소만 덩그러니 남은 빈집은 떨어진 문패와 함께 철로 된 문이 녹슬어 곧 무너질듯 덜렁 거리고 깨진 유리 조각이 문 앞에 위험하게 쌓여 있다.

맞은편 폐가는 화장실과 창고문이 모두 사라진채 방치됐고 내부는 무너진 천정과 가재도구들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다.

주민 김정민(72)씨는 “관리가 되지 않으면서 점점 더 큰 폐허가 돼가고 있다”며 “길이 매우 위험하지만 인근에 사는 주민이 몇몇 있어 폐쇄는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빈집에서 불과 100여m이내에는 어린학생들이 다니는 학원도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해 보였다.

인천지역 구도심 지역은 도시정비구역 지정 이후 개발이 늦어지고 낙후되면서 시의 정책에 실망한 주민들의 주거지 이탈이 가속화 되고 있다.

인천지역 빈집은 단독주택 4천906가구, 아파트 1만9천811가구, 연립주택2천79가구, 다세대주택 2만49가구, 기타 557가구 등 총 4만7천402가구다.

이중 관리가 쉬운 아파트와 다세대주택 가구 등을 제외해도 수천 가구의 빈집이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셈이다.

그러나 인천시가 지난해 빈집(폐·공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해 파악한 곳은 8개구 1천889곳, 강화·옹진 73곳으로 총 1천962곳에 불과하다.

시와 10개 군·구에서는 빈집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지 않고 주민 민원이나 마을 통장 등의 신고로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관리가 미흡해지면서 구도심인 동구 송림동과 연수구 동춘동 등 빈집이 다수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주택매매율 역시 떨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다.

시가 공원, 녹지 등 공공시설 건설을 위해 고시한 도시계획시설 중 10년 이상 사업이 정체된 장기미집행시설도 문제다.

예산과 관리 부족으로 곳곳이 폐허나 일탈의 장소로 방치돼 청소년 일탈장소로 사용되는 등 인근 주민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

시 관계자는 “올해 1~2월 중으로 공·폐가 관리에 대한 법령이 정비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에서 법령이 확정되면 체계적인 관리와 조사를 통해 폐가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주재홍기자/jujae84@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