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만 인천의 그림자 '신·구도심 양극화' (中)구도심 정비 부진이 빈집양산 불러

▲ 인천의 대표적 구도심 중 하나인 십정2지역 구역 전경. 윤상순기자
인천은 인구와 도시의 양적 성장을 하고 있지만 오히려 빈집은 늘고 있다.

인천시의 구도심 도시정비사업이 계속해서 무산되고 있고 10년 이상 사업이 정체된 장기미집행시설도 방치되고 있기 때문이다.

시의 부진한 정책으로 열악한 환경에 실망한 구도심 주민들은 주거지를 옮기고 있고 주택거래량도 급속히 줄어들어 슬럼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주택거래량 부진은 다시 빈집 발생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반복되고 있다.

중.인천시 구도심 정비 부진으로 빈집 양산 불러

▶인천시의 구도심 정비사업 중 절반 이상 무산

인천지역 구도심의 도시정비사업 중 절반 이상이 무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9일 시에 따르면 인천지역 212곳에서 진행 중이던 도시정비사업 중 110여곳이 해제돼 현재 100여곳에서만 추진 중이다.

도시정비사업은 낙후된 지역을 되살리고 사업지 주변 주민들의 생활을 여건 개선하는 등 구도심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업이다.

하지만 전체 도시정비사업 해제지역 중 인천지역 구도심인 중·동·부평·남구에서 70%이상인 76개 지역이 해제됐다.

시는 사업성 악화와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을 원인으로 꼽고 있지만 무분별한 사업대상지 선정과 무책임한 정비구역 해제라는 비난을 피할 수 없다.

특히 시가 추진 중인 100여곳의 도시정비사업 지역도 사업이 순탄치 않다.

100여곳 중 사업시행인가를 받은 곳은 40곳에 불과하고 공사를 시작한 지역은 6곳이다.

시의 부진한 구도심 개발사업은 주민들이 빈집을 두고 다른지역으로 떠나는 가장 큰 원인이다.

구도심 주민들의 이탈은 다시 구도심 환경의 슬럼화를 부추겨 더 많은 주민들이 구도심을 떠나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인천시의 장기미집행 시설 방치, 구도심 낙후 부추겨

시가 예산부족과 지자체와의 협의 부족으로 방치하고 있는 시설도 구도심 낙후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0년 이상 사업이 정체된 인천지역 장기미집행 시설은 광장 8곳, 공원 54곳, 녹지 50곳, 도로 44곳, 유원지 및 공공청사 5곳 등 169곳에 달한다.

이들 시설이 수십년 간 개발이 되지 않은채 방치되면서 상당수가 도심 흉물로 방치됐고 청소년 일탈 장소 등 치안을 악화시키는 주범이 되고 있다.

시설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자녀 교육 등을 이유로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고 시의 장기미집행 시설 방치는 빈집을 양산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장기미집행 시설 인근 주민들은 시에 개발 시작 또는 개발계획 취소를 요구하고 있지만 시는 특별한 대책도 없이 장기미집행 시설 해제를 막고 있다.

시 관계자는 “예산이 부족해 장기미집행시설에 대한 투자를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다”며 “민간투자 등을 통해 사업을 진행할지 고심중”이라고 했다.

▶구도심 빈집 양산으로 주택거래량도 급감

인천지역의 대표적인 구도심으로 빈집이 늘고 있는 중·동·부평구의 주택 거래량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다.

중구는 지난 2015년 3천806가구의 주택이 거래됐지만 지난해에는 3천551가구로 7%(255가구) 거래량이 감소했다.

부평구는 같은 기간 2만438가구에서 지난해 1만9천829가구로 14%가 줄었고 동구도 2천111가구에서 1천672가구로 21.3%가 감소했다.

시의 부진한 정책으로 구도심 주택거래가 멈춰서 주민들은 빈집만 남긴채 구도심을 떠나고 있고 주택거래 감소는 다시 슬럼화를 부추기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구도심 빈집 증가는 송도 등 신도시와의 양극화 현상 심화에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

남지현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인천에는 일제시대 건물 등이 많이 남아 있다”며 “빈집을 관리할 수 있도록 전수조사가 진행되야 한다”고 말했다.

주재홍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