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만 인천의 그림자 '신·구도심 양극화' (中)빈집 재활용대책 마련 필요

미국 미시간주에서는 자동차 대기업인 GM사에서 근무하던 8만명이 5천~6천명으로 줄면서 빈집이 대량 발생했다.

이러한 빈집의 관리를 위해 랜드뱅크라는 회사가 설립돼 1천건 이상의 빈집을 관리, 200~300건의 첨단 건물로 탈바꿈시켰다.

랜드뱅크가 35억 원을 투자해 빈집을 철거하면서 주변가치가 높아져 약 1천200억 원 상당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빈집 리모델링을 통해 마을에 생활형 일거리를 창출할 수도 있다.

빈집을 지역 자원으로 인식하고 빈집 리모델링과 마을만들기를 연계하면 소규모 도시재생 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다.

서울 성북구 삼선동에 위치한 구릉지대 ‘장수마을’이 대표적인 예다.

지난 2004년 재개발예정구역으로 선정된 후 장기간 방치된 빈집을 리모델링해 ‘마을까페’, ‘장수마을박물관’ 등으로 활용해 노후 불량주택 정비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곳 주민들은 단순히 빈집을 고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장애인들을 위한 맞춤가구 제작 등 다양한 생산 활동을 하고 있다.

빈집을 리모델링 해 임대주택사업을 진행한 곳도 있다.

은평구 두꺼비하우징은 주택 개보수와 관리를 대행하는 사회적 기업으로 빈집을 건물주로부터 임대해 리모델링을 추진, 청년 취약계층에 재임대하고 있다.

이 사업은 용산구에서도 관심을 갖고 중개수수료를 지원하는 등 성공적 사례로 꼽힌다.

인천시의 구도심 정비사업 중 절반 이상이 무산되고 장기미집행 시설을 방치해 구도심 낙후를 부추기고 있지만 시의 빈집에 대한 인식 부족은 심각한 수준이다.

시 주거환경정책과 관계자는 “구도심 정비사업이 무산되는 것은 빈집 발생과 큰 관련이 없다”며 “노인 증가 등으로 인한 자연적 현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시각은 다르다. 시가 빈집 관리에 대한 첫 시작인 전수조사를 진행해 통계자료를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시가 인천지역 4만7천여 가구의 빈집 통계자료를 구축하면 일시적 빈집인지 영구적 빈집인지 구분할 수 있다.

소유주와 연락이 가능한 일시적 빈집은 앞서 위기를 곧 기회로 바꾸기 위한 사업 추진이 쉽다.

또 영구적 빈집은 철거해 민간사업자들의 제안을 받아 새로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빈집을 인천시와 지역주민, 시민단체, 시행사 등이 함께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생기는 셈이다.

남지현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빈집도 구도심 지역의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필요하다”며 “빈집을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 확보가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시 주거환경정책과 관계자는 “전수조사를 위해 세부정보를 수집하고 있다”며 “정부 법령이 곧 제정되면 체계적인 사업 계획을 통해 빈집 주변 공동체를 살리는 데 힘쓸 것”이라고 해명했다.

주재홍기자/jujae84@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