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치매노인 1명당 연간 치매진단·돌봄비용(예산)이 3만원인 것으로 추정된다. 31개 시·군별 치매관리 전담인력도 평균 2.09명이었다.

치매노인 인구는 가파르게 늘고 있는데, 관리가 사실상 전혀 되지 않고있다는 의미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경기지역 12만4천526명의 치매환자 관리예산은 58억 원이다. 이 중 인건비 20억 원을 제외하면 실제 치매관리비용에 투입된 예산은 38억 원 정도다. 산술적으로 치매환자 1명당 관리비용이 3만515원에 불과하다는 의미다.

이 비용은 치매 가족 교육(600만원), 치매가족대회(3천 만원), 치매 방문 검사시행(9억 원), 치매자원조사(1천만원), 경증치매환자 건강관리(7억8천500만원) 등에 사용된다.

시군별 치매관리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것도 문제다.

31개 시·군 총 42개 보건소별 치매관리인력은 평균 3.45명이다. 이중 타업무를 겸직한 직원 57명을 제외하면 전담인력은 평균 2.09명이다.

이천·의왕·과천·포천시의 경우 각 1명이 각각 2천535명, 2천328명, 773명, 1천690명의 치매환자를 관리했다.

도(道) 관계자는 “이들 지역의 경우 사실상 방문하는 환자나 가족에 대해 상담해 주는 것이 전부”라면서 “그나마 성남·용인시, 양평군이 치매환자 관리를 제대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성남·용인시, 양평군 3개 시·군에는 치매센터와 가족사랑이음센터가 있고, 광명시에는 치매센터만 설립됐다.

치매센터에서는 치매 정밀검사가 가능해 조기진단이 가능하다. 가족이음센터는 경증치매환자에 대한 재활을 담당한다.

치매센터가 없는 이천 등 28개 시·군은 제대로 된 치매 간이검진조차 불가능한 실정이다.

안산시 단원보건소 관계자는 “지난 20일에도 하루 종일 상담만 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인원 보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치매는 조기치료가 중요한데 사실상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고 있다”면서 “중증이 되면 치료비용이 더 많이 들어 국가적으로도 손실이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4억 원을 들여 광역치매센터(건설비 1억 5천만원·운영비 2억 5천만원)를 설립할 계획”이라며 “치매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정부차원의 대책이 절실하다”고 했다.

도내 치매추정인구는 2010년 8만8천여명에서 2016년말 13만7천310명으로 56%가 증가했다.

허지성기자

▲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