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청객 구제역… 막아낼 수 있을까

구제역에 대한 인천지역 농장별 백신항체 양성률이 90%를 넘고 있지만 바이러스를 저지하기 위한 방역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시는 조류인플루엔자(AI)를 예방하기 위해 공동방제단 운영, 이동방역통제 초소 설치, 농가 출입차량에 대한 GPS 설치 등을 실시했지만 인력부족과 지원미비로 방역에 허점을 노출했다.

시가 추진했던 AI 방역이 구제역 방역도 동시에 진행한 것과 같기 때문에 구제역에 대비하기 위한 방제 인력 증원과 지원이 필요하다.

▶농장별 백신항체 높아, 구제역 예방 문제없다

인천시는 지난해 10월~올해 5월까지 구제역·AI 특별대책상황실을 운영했다.

지난해 AI가 전국적으로 확산됐고 인천 서구 토종닭 농가에서 AI가 발생해 시의 특별대책상황실 운영은 더욱 강화됐다.

시는 지난해 강화군 지역 돼지 농가를 대상으로 구제역 백신을 일제 접종했다.

시가 구제역에 대한 방재를 철저히 한 이유는 지난 2010~2011년에 발생한 구제역이 큰피해를 입혔기 때문이다.

당시 소, 돼지를 사육하는 230농가가 피해를 입었고 살처분과 보상금 비용으로 약 500억 원의 비용이 소요됐다.

또 백신의 약효가 적다고 지적된 영국 메리얼사의 ‘O1 마니사’ 백신을 올해 러시아의 ‘프리모스키주’ 백신으로 교체하는 등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시 관계자는 “AI로 인해 방역 활동이 풀가동되고 있고 가축들에 대한 항체 양성률이 높아 큰 걱정은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AI 발생때와 크게 달라지지 않은 방역 우려 여전

시가 선제적으로 가축들의 구제역 예방접종을 실시한 것은 구제역에 발병 확률을 크게 낮췄지만 방역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시는 인천 전 지역을 담당하는 공동방재단 3개(6명)팀으로 지난 1월부터 AI에 취약한 10개 군·구 1천762곳 소규모 농가에 대해 매일 방재를 실시해 왔다.

강화·옹진에는 2개팀이 나머지 8개 군·구는 인천축협 1개(2명)팀이 방역 활동을 하고 있다.

방재팀이 하루에 방재할 수 있는 농가는 30여 곳에 불과해 모든 농가를 방역하기는 무리라는 지적이다.

또 농가를 출입하는 차량들에 대한 GPS 설치도 확실히 관리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AI와 구제역 발생에 대비해 농가를 드나드는 차량에 대해 GPS장치를 부착하도록 독려하고 있지만 참여율은 낮다.

현재까지 10개 군구에 등록된 차량 GPS는 697대이다.

이와함께 인천시가 사용하고 있는 바이러스 방지 소독약품이 추위에 약해 방재 효과가 떨어진 것이 확인됐다.

시는 소독약품을 물에 희석시켜 분사하는 방식으로 방재를 해왔는데 날씨가 추워지면서 물에 희석된 소독약품에 결빙이 생겨 분사가 힘들어지고 설사 분사한다 하더라도 소독액이 얼어버려 방재 효과는 현저히 떨어진다.

주재홍기자/jujae84@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