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에 사는 박모(73세,여)씨는 며칠 전에 재채기를 크게 몇 번 하고 난 후부터 움직일 때마다 허리 통증이 느껴지기 시작했다. 그 날 이후 등 통증이 심해져 허리를 똑바로 펴고 걸을 수가 없었다. 결국 병원을 찾은 박 씨는 ‘척추압박골절’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일반적으로 척추골절은 교통사고 등으로 허리에 큰 충격을 받을 때 발생한다고 생각하지만, 작은 충격에도 척추가 골절 될 수 있다. 그 원인은 바로 골다공증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골다공증은 뼈에 구멍이 많이 생겨 뼈가 약해지는 병이다. 최근 노년 인구의 증가로 골다공증에 의한 척추압박골절 환자가 증가 추세에 있으며, 골절된 척추에 괴사가 일어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4년 골절을 동반한 폐경 후 골다공증 통계’에 따르면 50세부터 환자가 5천106명으로 급격히 증가했고 70세 이상의 폐경기 골다공증 골절환자는 3만8천229명으로 66.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의 비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훨씬 더 높은데 여성은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뼈의 골흡수가 증가하면서 혈중 칼슘농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부갑상선 호르몬의 분비 감소로 장내 칼슘 흡수 또한 낮아져 골다공증이 흔하게 오기 때문이다.

골다공증이 심해지면 결국 뼈의 골절이 발생하게 된다. 박 씨의 사례처럼 재채기로 인해 척추압박골절이 발생하는 이유는, 재채기를 하면서 허리 주변 근육의 갑작스러운 수축으로 상승된 복압이 척추에 압력을 가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골다공증이 심한 환자는 특별한 외상 없이도 척추가 주저앉을 수 있다. 이럴 경우에는 근육통으로 오인하기 쉬워,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가 통증이 심해지고 나서야 정밀진단을 통해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척추압박골절은 척추 뼈의 손상 정도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진다. 허리 통증이 심하지 않고 압박골절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는 대부분 2~3주 안정을 취하고 누워 있는 것만으로도 상태가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골절된 뼈가 굳을 때까지 오랜 시간 보조기를 착용했지만 최근에는 ‘경피적 척추체성형술’을 시행한다. 이 수술법은 정교한 드릴로 척추 내에 골시멘트를 주입할 공간을 확보해 골시멘트를 주입해 추체의 압박부위를 강화시키는 것이다. 압박골절의 정도가 심해 척추뼈의 높이가 많이 낮아진 경우에는 ‘풍선’을 이용해 척추뼈의 높이를 복원한 후 풍선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골시멘트를 주입시키는 ‘척추체 풍선성형술’을 시행한다. 이 수술법은 전신마취가 필요 없어 고령이나 고혈압, 당뇨 등의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시행 할 수 있다. 또한, 시술시간이 20여 분에 불과하고 피부를 절개하지 않기 때문에 흉터가 남지 않는 장점이 있다.





골다공증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적절한 칼슘과 비타민 D가 필수다. 칼슘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우유, 멸치, 콩, 견과류, 양배추 등이 있다. 카페인 함유가 많이 들어있는 커피는 칼슘 흡수율을 방해하고, 뼛속 칼슘 성분을 소변으로 배출시키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칼슘의 흡수를 도와주는 비타민 D는 햇볕을 쬐면 피부에서 만들어지므로 적당한 바깥 활동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은 작은 충격에도 골절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생활속에서도 낙상의 위험을 높이는 요소를 최소화해야 한다. 실내에서도 미끄럼 방지 매트를 설치하거나 화장실 바닥의 물기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또한 미끄럽지 않는 양말이나 슬리퍼를 착용하고, 집안에서 발에 걸려 넘어질 만한 것들을 정리해두는 습관이 필요하다.

도움말 : = 수원 윌스기념병원 척추센터 이동근 원장

황호영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