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학년도 대입에서 수시모집이 차지하는 비중은 73.7%이다. ‘학종시대’의 개막과 함께 정시모집 비중이 사상 최저로 줄어들고 수시모집 인원이 크게 늘면서 수시는 선택이 아닌 필수로 바뀌었다. 이제 수시 지원이냐 정시 지원이냐를 따지는 것은 무의미하다. 수시모집에서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전형을 고려하여 수시 카드를 어떻게 쓸지 고민해야 한다.

수시모집은 대개 학생부교과·종합, 논술, 실기·적성 전형 등으로 나뉜다. 그 중에서도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은 2018학년부터 수시모집의 주요 카드로 급부상했다. 특히 서울 및 수도권 주요 대학의 경우, 수시모집에서 학종으로 선발하는 인원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학종은 학교생활기록부를 중심으로 자기소개서와 추천서를 검토하고 면접을 치러 최종 선발하는 전형으로 내신 성적뿐 아니라 교내 활동도 매우 중요하다.

학종에서 면접은 당락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면접의 토대가 되는 자기소개서 작성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지원자는 자기소개서에서 예상 질문을 뽑아 연습한 다음, 지원하는 학교와 학과의 기출 문제를 연습하고, 최종적으로 주변의 도움을 받아 모의 면접을 훈련해 두어야 유리하다. 간혹 서류 전형 발표 후 면접을 준비하겠다는 학생들이 있는데 다소 위험한 생각이다. 면접은 단기간의 준비만으로 실력을 향상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학종시대’에 논술전형의 전망은 어떨까? 논술전형의 강점은 ‘in 서울’로 가는 마지막 카드라는 점에 있다. 내신 성적이 좋지 않아 학생부교과전형에 지원하기가 힘든 수험생이나 교내 활동이 부족해 학종에 지원하기 힘든 수험생들이 노려볼 수 있는 전형이다. 수능 최저학력 기준이 폐지된 대학들을 노린다면 수능 성적에 자신이 없는 수험생들도 도전할 수 있다.

2018학년도에 고려대가 논술전형을 폐지하면서 전체 수시모집 비중으로는 선발 인원이 줄어들었으나, 논술전형 실시 대학은 31개교로 예년에 비해 1개교가 늘었다. 한국산업기술대가 논술전형을 신설했고 덕성여대가 논술전형을 재도입했기 때문이다.

서강대 논술전형에 지원하는 수험생의 경우 학생부 반영 비율이 20%, 논술 반영 비율이 80%로 교과 성적에 대한 부담감이 크게 줄었다. 서강대 외에 연세대, 성균관대, 한양대, 중앙대, 경희대, 이화여대 등 대다수의 대학들이 60~70%로 논술 반영 비율이 높은 반면 학생부 반영 비율은 낮은 편이다.

올해는 인하대가 논술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폐지하면서 한양대, 서울시립대, 건국대, 광운대, 아주대, 단국대, 경기대, 과기대, 산업기술대, 항공대 등의 주요 대학들이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하지 않아 수험생의 지원 폭이 더 넓어졌다. 종합해 보면 논술전형은 여전히 정시나 학종으로 지원하기 힘든 학생들이 상위권 대학을 공략할 수 있는 ‘in 서울’ 핵심 카드이자 마지막 카드인 셈이다.

출제 경향을 분석해 보면 논술전형은 지속적으로 난이도가 낮아지고 있다. 과거에는 제시문의 범위가 넓고 논제 자체도 접근하는 방식이 까다로웠으나 최근 들어 제시문의 범위가 교과서를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논제도 쉽게 접근하도록 출제된다.

그러나 출제 경향이 그렇다는 것이지 노력도 쉽게 해야 한다는 것은 절대 아니다. 출제 의도에 부합한 답안을 작성하되 합격할 수 있는 답안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학생들이 생각하지 못한 비판적이고 논리적인 사고 능력은 물론 창의적인 능력까지도 보여주어야 한다. 이러한 능력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개발하는 것이다. 필자가 늘 강조하는 것이지만 평범한 노력은 진정한 노력이 아니다. 학생부 전형도 논술 전형도 지원 전략에 따라 차근차근 꼼꼼하게 준비하는 남다른 노력이 필요하다.

새 학기다. 이제 수험생에게 3월 모의고사가 진로 결정에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내신과 수능, 모두 중요하지만 현실적으로 본인의 강점을 분석하고 수시 지원 카드를 결정해야 할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 틈틈이 자신에게 적합한 전형을 찾아 지원 전략을 세우는 지혜가 필요한 때이다.

최영신 경희대 평생교육원 교수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