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색, 무취, 무미의 기체인 라돈(Radon)은 흡연 다음으로 꼽히는 폐암 유발 1급 발암물질이다.

경기도 내 31개 시·군 중 19개 시·군, 주택 10가구 중 2가구의 실내 라돈농도가 WHO의 관리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주택 내 라돈 관리기준을 만들고 홍보를 강화하는 동시에 라돈으로부터 국민을 지키기 위한 정부 및 지자체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년마다 전국의 주택 1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내 라돈 실태를 조사한다.

경기연구원 강철구 선임연구위원은 국립환경과학원의 2012년 및 2014년 라돈 실태 조사 자료 등을 토대로 ‘라돈 생활유해물질 얼마나 심각한가?’라는 제목의 자료를 냈다.

22일 이 자료를 보면 도내 주택 실내 평균 라돈농도는 108.5 ㏃/㎥로, WHO 관리기준 100㏃/㎥를 초과했다.

가평군 244㏃/㎥, 포천시 210㏃/㎥, 과천시 156.1㏃/㎥, 여주시 147.1㏃/㎥ 등 31개 시군 중 19개 시군의 평균 농도가 WHO 기준을 넘어섰다.

조사 대상 주택 10곳 중 2곳에 가까운 18.2%의 실내 라돈농도는 우리나라 다중이용시설 라돈 관리 권고기준치 148㏃/㎥도 초과했다.

가평군과 광명시, 수원시, 안산시, 양평군, 안양시 등 노후 주택이 많거나 화강암 지대, 토양과 연접한 단독주택이 많은 지역의 라돈농도 권고기준 초과 주택 비율이 25%를 넘기도 했다.

포천시의 한 단독주택에서는 2천299.8㏃/㎥의 라돈이 검출되기도 했다.

강 연구위원은 각종 연구 자료를 근거로 우리나라 전체 폐암 사망자의 12.6%가 실내 라돈에 의한 것으로 밝혔다.

WHO 발표 자료를 보더라도 라돈은 흡연에 이은 두 번째 폐암 발생 원인으로 꼽힌다.

주택 실내 라돈농도 조사치와 연도별 폐암 사망률을 연관 분석해도 라돈농도가 높은 곳이 폐암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나온다고 강 연구위원은 덧붙였다.

따라서 강 연구위원은 라돈농도와 폐암 사망률이 함께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라돈에 대한 특별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강 연구위원은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 다중이용시설의 라돈농도 관리기준을 148㏃/㎥에서 100㏃/㎥로 강화하고, 라돈의 위험성 등에 대한 대국민 홍보를 강화하며, 라돈농도가 심각한 지역에 대한 맞춤형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정부와 지자체가 라돈 관리업무 전담 인력을 배치하도록 제안했다. 특히 라돈농도와 폐암 사망률이 함께 높은 가평군과 포천시, 여주시, 양평군에 대한 특별한 라돈 관리 대책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라돈은 토양이나 암석, 물에서 라듐이 핵분열 할 때 발생하는 방사성 가스로, 건물의 바닥이나 벽의 갈라진 틈 등을 통해 건물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오래된 단독주택, 농촌 주택, 화강암 지대 등이 더 위험하다.

국립환경과학원의 주택 라돈 실태 조사는 각 지자체에서 읍·면·동별로 선정한주택에 조사원이 방문, 라돈 검출기를 설치하고 90일간 측정한 후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강 연구위원은 자료에서 “우리나라는 라돈농도 고위험국임에도 다중이용시설 라돈 관리기준이 허술할 뿐 아니라 규제가 아닌 권고에 그쳐 유명무실하며, 그나마 주택의 라돈 관리 권고기준은 마련도 되지 않은 상태”라며 “라돈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현우기자/kplock@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