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리빌딩. 바른정당 대권주자로 나선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캐치프레이즈다. 경기도지사 취임 전까지만 해도, 서른셋 젊은 나이에 부친의 지역구를 물려받아 내리 5선에 성공한 남경필 지사를 바라보는 시각은 ‘오렌지족’. 금수저의 옛말 격이다. 하지만 민선 6기 경기도정에서 그가 선보인 정치실험 연정(聯政)은 숱한 화제를 끌어모으며 이번 19대 대선을 관통하는 화두로 거듭났다. 대권이라는 큰 그림을 그리는 남경필 지사는 “경기도에서의 연정과 협치를 바탕으로 무너진 대한민국을 리빌딩하겠다”고 외치고 있다.


◇시대정신(Zeitgeist)… 연정과 협치= 남경필 경기지사는 “오늘날의 시대정신은 연정과 협치다. 연정은 이미 대한민국 정치 구조 변화의 리더십이 됐다”고 자평한다.

그도 그럴 것이 민선 6기 취임 후 경기도의회 여야 양당과 서약한 ‘경기연정 정책합의문’에서 시작된 경기연정은 여러 정치적 난제를 해결하는 원동력이 됐다. 경기도는 연정을 통해 광역자치단체 중 최초로 생활임금제 도입에 성공했고, 공공기관장 인사청문회는 기존 관피아·정피아 등 낙하산 인사를 일정 부분 불식시키는 역할을 해냈다.

특히 경기도 3명의 부지사 자리 중 하나를 야당에 넘겨줌으로써 행정에서의 협치를 실천했다. 여기에 더해 지난해 9월 출범한 2기 연정에서는 지방장관제 대체제로 경기도의회에서 여야 2명씩 연정실행위원장을 임명해 행정 권한을 대폭 이양했다.

그러나 국내 최초로 현실정치에 반영된 경기연정은 적지 않은 부작용을 겪기도 했다. 2기 연정의 토대가 된 ‘경기도 민생연합정치 합의문’에 따른 288개 과제, 1조6천250억 원에 달하는 연정예산을 두고 ‘지역구 예산 챙기기’라는 의혹을 받는가 하면, 연정부지사와 연정실행위원장 등에 대해서는 ‘자리 나눠먹기’라는 부정적 여론이 일기도 했다. 그렇다 해도 경기연정은 한국 정치에 필요한 상생과 협치의 선구적 모델로 인식돼, 이번 19대 대선을 장식하는 주요 키워드로 부상했다.



◇회의실 문을 연 소통행정= 경기도에서 오래 근무한 공직자들이 입을 모아 말하는 남경필 지사의 강점 중 하나는 ‘비권위’와 ‘경청’이다. 실제 남 지사는 역대 도지사들과 다르게 도청내 회의실 문을 개방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경기도는 현재 고위직 공무원인 실·국장들이 도지사에게 현안과 정책을 보고하는 실·국장회의를 도청 직원들이 실시간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인트라넷을 통해 중계하고 있다. 매주 각 실·국별 주요사업의 진행상황을 점검·발표하는 ‘주간정책회의’는 민간에 개방한 것도 모자라 지역방송을 통해 송출까지 한다. 주간정책회의의 경우 실시간 중계를 청취하는 직원들이 익명으로 정책에 대한 의견을 가감없이 제시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도지사 권한 중 하나인 연 400억 원대 시책추진비를 도내 31개 시·군의 현안사업에 활용할 수 있게 한 ‘NEXT경기 오디션’ 또한 남경필식 ‘내려놓기’의 결과물이다.

또다른 강점으로 꼽히는 경청의 대표적 사례는 ‘도지사 좀 만납시다’. 남 지사는 취임 후 거의 매주 금요일 오전 10시부터 2시간 동안 도민들의 민원상담을 직접 진행하는 이 행사를 이어오고 있다. 2014년 7월 11일 시작 이래 현재까지 87회에 걸친 상담을 통해 445건의 민원을 상담하고 이중 261건을 해결 또는 일부 풀어주는 성과를 거뒀다.



◇공유경제, 신개념 경제정책VS대권마케팅= 세계 경제시장은 이제 자유경쟁 원칙에 입각한 시장경제 체제에서 협력소비를 바탕으로 한 공유경제로 전환되고 있다. 민선 6기 후반기에 접어든 경기도는 최대 역점사업으로 공유시장경제 플랫폼을 구축하겠다고 선언했다. 공공기관이 소유한 데이터와 토지, 인력 등을 기반으로 플랫폼을 구축, 대기업에 비해 재정적 여건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스타트업들의 활로를 모색하는 것이 경기도형 공유시장경제의 골자다.

도는 올해 들어 공유시장경제국을 출범시키며 그간 분산됐던 공유시장경제사업인 경기도주식회사, 경기도Coop협동조합, 공공물류유통센터, 사회적 경제기업 등을 한데 묶어 추진동력을 갖췄다.

하지만 본 취지와 달리, 경기도형 공유시장경제가 초반부터 불안한 모습을 보이며 일각에서는 남경필 지사의 대권마케팅용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공유시장경제 첫 모델인 경기도주식회사는 부족한 준비기간 탓에 지난해 11월 출범한 이후 뚜렷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자칫 용두사미로 끝나지 않을까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실정이다. 공유시장경제국 또한 조직 신설 과정에서 경기도의회 반발에 부딪힌 탓에 좌초 위기까지 몰렸었다. 1국 2과로 이뤄진 공유시장경제국은 대통령령인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 지침에도 적합치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었다.

황영민기자/hym@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