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와 광주경찰서가 협업해 설치한 신변안전부스에 위치 선정 논란이 일고있다.

18일 광주시와 광주경찰서 등에 따르면 부스는 2015년 5월 광주시 송정동 한 도로변에 첫 설치를 시작으로 지난해 역동과 신현리 한 버스정류장에 각각 1대씩 추가로 설치, 현재 총 3대가 운영중에 있다.

신변안전부스는 긴급 상황시 대피할수 있는 공간으로 출입시 시건 장치가 자동 작동되며 내·외부 총 4대의 CC(폐쇄회로)TV를 통해 경보알림과 현장 영상이 광주시통합관제센터로 전송된다.

시는 부스 설치를 위해 총 5천 5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하지만 부스가 설치된 장소가 범죄발생지역과는 다소 동떨어져 부스의 실효성이 떨어지는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는 부스가 국유지에만 설치가 가능해 장소 선정이 극히 제한돼 있다보니, 가장 크게 고려돼야 할 관련 범죄 신고건수와 범죄발생율 등 부스 설치 일대 범죄위험도 분석이 후순위로밀려났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신현리에 한 버스정류장 옆에 설치된 부스는 주민들의 출입이 빈번한 대단지 아파트 진·출입로 설치돼 있고, 반경 100m 이내에는 편의점과 상가 등이 모여 있어 우범지대와는 거리가 멀었다.

또 역동의 한 버스정류장 옆에 설치된 부스는 인근에 학교가 있어 학생들의 보행이 잦았지만 시내로 오가는 비교적 차량 통행량이 많은 사거리에 위치해 있어 이곳 역시 범죄취약지역이라고 보기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나마 송정동에 설치된 부스 일대는 여성이 혼자 거주하는 원룸과 빌라 등이 형성돼 있었고 부스 설치 당시 최근 3년간 7건의 음란행위(바바리맨) 신고를 집계해 설치됐다.

나머지 2개의 부스는 이같은 범죄 신고나 범죄발생건수 등 구체적인 수치나 통계는 파악되지 않은 채 설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2015년 처음 설치된 부스는 2년이 지난 현재까지 당초 설치한 취지에 맞는 긴급상황 발생이 한번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경찰 관계자는 “송정동의 경우 부스 설치 이후 더이상 바바리맨이 출몰하지 않고 있으며, 부스가 한번도 작동되지 않은 것은 설치 자체로 범죄예방효과가 있기 때문에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한다”며 “부스 일대 범죄발생율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보진 않았지만 순찰을 도는 각 지역 지구대와 파출소 등에 의견을 물어 종합적인 판단 결과 부스를 설치했다”고 말했다.

한편, 신변안전부스는 광주시가 준비하고 있는 국제안전도시 평가 항목에 포함돼 있다.

김지백·김동욱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