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중부일보DB

광명시 관광명소로 자리잡은 광명동굴이 오는 7월부터 위탁운영된다.

향후 30년간 5천400억 원의 수입이 예상되는 광명동굴의 전문적인 관리와 운영이 필요하다는 판단때문이다.

25일 시에 따르면 2015년 4월 유료 개장한 뒤 234만명이 다녀간 광명동굴의 전문적인 운영·관리를 위해 기존 광명시시설관리공단을 광명도시공사(가칭)로 승격시켜 전반적인 업무를 이양시킬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시는 광명동굴의 레스토랑 운영 등의 일부 업무를 이미 공단에 위임한 상태이며, 오는 5월 광명시의회에 공단을 공사로 승격시키는 조례를 준비중이다.

시는 시의회 등을 거친 뒤 별다른 문제점이 생기지 않는다면 오는 7월께 공사를 출범시키고 본격적인 업무 이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광명동굴은 조선 시대부터 은을 채굴하던 가학리 광산으로 일제 강점기를 지나 광복 후 까지도 금·은·동·아연 등을 캐 오다가 1972년 폐광됐다.

이후 광명동굴은 40여년 동안 소래 포구에서 생산된 새우젓 저장소로 사용되다 2010년 당시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에 출마한 양기대 현 시장의 공약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동굴 테마파크로 개발된 광명동굴은 최근까지 입장료와 식당 운영 및 와인·새우젓 판매수익 등으로 125억 원의 세외수입을 벌어 들였으며 앞으로도 향후 30년간 6천만명의 관광객이 예상돼 5천400억 원의 수입을 추가로 벌 수 있다는게 시의 예상이다.

특히, 문화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2017 봄 여행주간 행사’에 경기도 대표 관광지로 선정되는 등 시를 서울의 베드타운(bed town)에서 글로벌 관광도시로 성장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렇듯 광명동굴이 어느정도 성장 궤도에 오르게 되자 시는 공공성을 유지하면서 민간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 위탁 운영을 결정하게 됐다.

시 관계자는 “광명동굴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공사를 설립하고 민간 기업들의 기법을 이용해 전문성을 갖고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라며 “동굴은 공사가 맡고 동굴 주변 특별관리지역 개발은 시가 주도적으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성태(민주당·광명4) 경기도의원은 “지금까지 대한민국에서 동굴을 테마로 한 관광지는 여럿 있었지만 광명동굴처럼 성공한 경우는 찾기 힘들다”며 “지자체가 맡아 운영을 하는 방법은 한계가 있다. 전문성을 갖춘 기관이 앞장선다면 광명동굴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광명동굴을 중심으로 민간자본을 유치해 서울과 가까운 새로운 택지지구와 첨담산업단지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김현우기자/kplock@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