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물 불안·안전요원 미흡 등… 지적사항 1천건 이상

▲ 2014년 10월17일 오후 환풍구 덮개가 붕괴돼 수 십명의 추락 사상자가 발생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테크노밸리 야외광장에서 사고 직후 소방관들이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연합

2014년 10월 발생한 판교 환풍구 추락사고가 발생한 지 2년 6개월여가 지났지만 아직까지도 경기지역 내 축제현장 안전불감증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매년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대규모 지역축제현장에서 안전 관련 지적사항이 무려 1천건 이상 발생했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에서 연간 수십만 명의 인파가 몰리는 유명 축제에서 안전 지침 미준수 사항이 평균을 웃돌아 관계당국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7일 경기도재난안전본부 등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개최된 지역축제 74개(누적)를 대상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총 1천315건의 지적사항이 집계됐다.

점검 분야는 행사용 구조물·소방·전기·가스·유기시설 및 유기기구·안전관리요원·기타안전·운영 등 총 8개 분야다.

이번에 집계된 1천315건 안전 관련 지적사항 중 행사용 구조물은 252건(19%), 안전관리요원은 251건(19%)으로 전체 지적건수의 38%를 차지했다.

판교 사고 이후 구조물 설계·설치 및 안전관리요원 배치 등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으나, 정작 사고 발생지인 경기지역 내 대규모 지역축제에서는 지켜지지 않은 셈이다.

이같은 안전불감증은 매년 수십만 관객을 동원하는 유명 축제에서 더욱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10만 명을 동원한 G군의 국제재즈페스티벌은 그 해에만 42건에 달하는 안전지침을 미준수했다.

행사용 구조물은 18건(43%), 안전관리요원은 3건(7%)으로 절반을 차지했다.

지난해 S시에서 개최된 역사문화제는 총 40건의 지적사항을 받았다.

이 중 행사용 구조물은 12건(30%), 안전관리요원은 11건(28%)으로 전체의 58%가 구조물과 안전관리요원에서 발견됐다.

당시 역사문화제에는 약 52만 명이 참석했다.

이들 축제들의 평균 지적건수는 41건으로 재난안전본부가 집계한 74개 축제 평균 지적건수인 17건의 2.4배에 달했다.

재난안전본부 관계자는 “지역축제는 설치 및 임대비용 절감을 위해 단기간 내 설치하고 짧은 시간동안만 사용하기 때문에 계획·설치·해체 전 단계에서 안전관리에 소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축제 개최 측과 지자체가 협력해 안전관리체계를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안전점검은 경기도 선정 10대 축제를 비롯해,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66조의 9 등에 따라 순간 최대관람 인원이 3천 명 이상인 대규모 지역축제를 대상으로 했다.

오정인기자/jioh@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