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했던 얘기였지만 이 정도의 심각함이라면 뭔가 특단의 대책이 필요할 것이란 생각이다. 경기도 가평군민의 97.3%, 양평군민의 96.2%, 연천군민의 94.9%는 30분 이내에 지역응급의료센터 도착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같은 통계는 그냥 짐작으로 만들어 낸 얘기가 결코 아니다. 이런 지자체와 인근의 동두천시와 여주시 주민의 53.2%와 34.1%도 30분 이내 지역응급의료센 도착이 불가능한 것으로 조사됐고 심지어 이들 지역 주민의 1시간 내 광역응급의료센터 도착 불가능 비율도 27%에 달했다는 것은 경기도내에서도 북부나 동부의 의료사각지대가 여전히 존재함을 알려주고 있다.

이와는 달리 대도시인 수원, 성남, 의정부, 안양, 부천, 고양 등 도시지역 주민의 30분 이내 지역응급의료센터, 1시간 이내 광역응급의료센터 도착 불가능 비율이 0%라는 사실은 물론 예상했지만 너무 대조적이라는 데서 의미가 크다. 단순하게 봐서 대형병원이 몰려있고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곳에 응급센터 도착비율이 높다는 것인데 그래도 뭔가 찜찜한 이유는 지방자치가 실시된지 도대체 얼마나의 기간이 흘렀는데 이런 얘기들이 여전한가 하는 현실에서다. 어른뿐 아니다. 우리는 얼마 전에도 산부인과가 없어 인근 지자체로 원정을 가야하는 도내 지자체에 관해 언급한 일을 기억한다.

심지어 1시간 안에 2차 의료기관 소아청소년과에 갈 수 없는 소아 인구도 연천군 38.9%, 가평군 47.1%, 양평군 59.1%로, 도내 평균 3.4%보다 월등히 높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실상 의료기관의 부재는 삶의 질과도 연계된다. 어제 경기도가 밝힌 보건복지부 발표 2016년 의료취약지 모니터링 연구 결과는 심각함을 넘어 가장 먼저 예산배정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인식되는 이유다. 이렇게 도내 곳곳이 공공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것은 물론 지역별로 의료서비스 불평등이 나타나는 것이 정상일 수는 없다. 지자체장들은 도대체 관할 지역에서 이런 일이 벌어지는데도 뭣하고 있는 것인가.

물론 뒤늦게 도가 공공보건의료 사각지대와 지역 간 건강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씽크탱크를 출범시켰다고는 하지만 하루속히 구체적인 대책이 논의되어야 한다는 판단이다. 그래서 지원단이 밝힌대로 공공보건의료계획 수립 지원과 의료취약지 거점 의료기관 운영과 보건의료 재난 대응, 공공보건의료 평가와 교육 그리고 공공보건의료 정책 연구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 이외 우리는 이에 상응하는 전체적인 의료서비스를 요구한다. 당장 주민들의 피부에 와 닿는 얘기를 해 달라는 주문이다. 그냥 출범식이나 하고 방치해서도 안된다. 의료취약계층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거주하는 도의 특성을 봐도 그렇다. 도의 정책만으로 역부족이라면 정부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 서울의 그것과 비교를 할 수는 없어도 근처는 가야 하지 않겠는가.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