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홈의 빛과 그림자(完) 전문가 제언

우리나라의 미래를 짊어질 청소년들과 어린이, 영유아들은 어른들의 보호를 받으며 성장할 권리가 있다.

단란한 가정에서 부모님의 보호를 받으며 아이들이 성장을 하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우리 주위에는 그렇지 못한 아이들이 생각한 것보다 훨씬 많다.

보육원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여러기관과 개인 후원자 등에게 도움을 받지만, 그룹홈은 개인 후원이 절실하다. 지방정부의 도움이 있지만 한창 먹고 클 나이의 아이들에게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우리에게는 생소한 공동생활가정인 ‘그룹홈’ 운영에 대한 어려움과 문제점을 짚어본다. <편집자 주>



경기지역 31개 지자체에 가족 학대 피해 아동과 한부모 가정 아동들을 수용·양육할 수 있는 ‘그룹홈’ 이 턱없이 부족한 것에 대해 전문가는 종사자들에 대한 처우 개선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특히 지자체의 도움을 받아 임금을 호봉제로 바꾸는 등 종사자들이 그룹홈 운영할 수 있도록 유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형민 한경대 아동가족복지학과 교수는 “그룹홈은 다른 기관과 달리 24시간 운영되는 곳”이라며 “그러나 다른 아동 복지 센터와 달리 호봉제가 적용되지 않아 인력부족 문제가 생긴다”고 말했다

호봉제로 임금이 보장된다는 것은 그만큼 종사자의 경력인정과 전문성 강화를 의미하는데, 임금이 낮다보니 사명감·헌신·봉사 정신으로 그룹홈을 만든다 하더라도 결국 운영이 어려워 와해가 되는 악순환이 이어진다는 지적이다.

그러면서 “정부에서 인건비 등을 지원하지만 월 25만 원 가량으로는 턱 없이 부족하다”며 “더구나 그룹홈은 미인가 시설도 많고, 종교단체에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 지원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며 지자체의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그룹홈을 혐오시설로 보는 지역 사회의 인식 변화 필요성도 언급했다.

이 교수는 “가출, 피학대 아동들이 모여있는 곳이다 보니 사람들의 시선이 곱지않다”며 “일부 집값이 떨어진다는 표현을 하면서 그룹홈 운영에 대한 반대도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한 지자체 관계자는 “그룹홈에 대한 운영비와 임금을 늘리고 싶어도 정부와 도, 지자체가 함께 예산을 내기 때문에 혼자 증액할 수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김동성·김형아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