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발열환자는 즉시 격리...출입국관리소 여객정보 등 연동

2015년 5월 국내에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가 발병한 이후 방역당국이 제2의 메르스 사태를 막기 위한 다양한 방책을 마련하고 있다.

25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11월 감염병 관리를 전담하는 감염병관리팀을 감염병관리과로 승격·신설했다.

2년전 메르스 발병 당시 문제로 지적된 부실한 컨트롤 타워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이다.

질병관리본부는 도 외에도 각 지자체별로 감염병 관리를 전담할 수 있는 기관을 신설토록 조치한 상태다

또 이와 함께 도내 병원에서 발생한 전염병을 실시간으로 24시간 동안 확인 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시스템을 마련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이 지적한 메르스 사태 원인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대안이 시행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부실한 컨트롤 타워 외 최초발병자의 행적 파악의 어려움, 정부 차원에서 이뤄졌던 정보 차단, 협소한 응급실 내 환자 수용, 면회자 및 간병인을 매개로 한 전파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고 있다.

방역당국은 우선 발병자 행적 파악을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운용하고 있는 의약품 처방조제 지원 시스템(DUR)을 이용하고 있다.

메르스 발생 당시 최초 발병자인 ‘슈퍼 전파자’가 자신의 행적을 정확히 밝히지 않아 의도치 않은 추가 감염자가 발생한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방역당국은 출입국관리소의 사전여객정보시스템(APIS), 항공여행기록(PNR)을 DUR시스템에 연동시켰다.

해당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감염병 위험지역을 여행한 환자가 진료를 받을 경우 진료의가 전산을 통해 환자의 여행지를 확인 할 수 있다.

메르스 전파자가 방문했던 병원 정보를 차단 하는등 정부차원에서 이뤄졌던 정보통제도 관련법인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개되고 있다.

당시 질병관리본부는 메르스와 관련한 정보를 차단해 시민들의 불안을 더 크게 만든다는 비난을 받은 바 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메르스 발생 이후 각 지역에서 발생한 전염병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고 있다”며 “이는 일반인도 인터넷을 이용해 확인 가능하다”고 말했다.

메르스 대란 이후 병원시설 이용에도 변화가 생겼다.

각 병원들은 발열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곧바로 다른 응급실 환자로 부터 격리한다. 또 응급실 앞에 보안요원을 배치해 보호자 외는 응급실로 들어갈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면회문화도 조금씩 바뀌고 있는 추세다.

병원 관계자는 “아직은 사람들이 면회 금지 조치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고 있지만 메르스 사태 이후 조금씩 인식이 달라지는 것을 느낀다”라며 “다만 격리조치되지 않은 환자의 경우 면회를 강제적으로 금지 할 방도는 아직 없다는 점이 아쉽다”고 말했다.

백창현기자/bch@joongboo.com
▲ 사진=연합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