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정상회의 기간 동안 국민들의 시선이 베를린과 함부르크로 쏠렸다. 국제외교무대에 첫 등장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일거수일투족이 보도되었고, 심지어 넥타이 색깔과 각국 정상들과 악수하는 모습까지 세세하게 지켜보게 되었다. 문 대통령이 독일 메르켈 총리를 시작으로 주요 국가 정상들과 양자, 혹은 다자회담을 하는 모습도 처음 있는 일이어서 관심이 집중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각국 정상들의 문 대통령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촛불혁명을 통해 새로운 민주주의의 역사를 쓴 대한민국의 대통령에게 각국 정상들의 회담 요청이 쇄도하였다는 소식도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탄핵정국으로 인한 혼란과 외교공백을 거뜬하게 메웠다는 점에서도 대한민국의 위상 재정립에 기여한 바 크다.

이번 일정 중 가장 관심이 집중되었던 부분은 당연히 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 구상을 담은 베를린 선언이다. 앞서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주석과의 회담을 통해 한반도 문제 해결에 우리의 주도적 입장을 확보했지만 북한의 ICBM 발사로 국제사회의 초강력 제재방안이 논의되는 어려운 시점에서 나온 구상이었다. 이번 베를린 구상은 2000년에 있었던 고 김대중 대통령의 베를린 선언의 연장선상에 있지만 상황은 그때에 비해 더욱 엄중하고 급박하다. 문 대통령은 이번 베를린 선언에서 북한 체제를 인정하고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협정 체결,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민간교류 확대 등 5대 정책방향을 제안했다. 그러면서도 당장 추진할 수 있는 실천방안을 제시했다. 우리 정부로서는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치의 제안을 한 것이어서 북한의 응답만 남았다. 가장 핵심은 올바른 여건이 갖춰지면 남북정상회담을 갖자는 것이다. ‘여건이 갖춰지면’이란 전제를 달아 복잡 미묘한 현 상황을 반영했다. 북한이 과연 대화 테이블로 걸어 나올지 현재로선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실천방안으로는 민족 대명절인 추석과 10.4 정상선언 10주년이 되는 10월 4일 남북이산가족 상봉행사를 개최하고, 평창올림픽에 북한의 참가를 제안했다. 또한 남북이 군사분계선에서의 적대행위를 상호 중단하자고 제안했다. 북한이 충분히 받아들일만한 부분이지만 어떤 태도로 나올지가 문제다. 반드시 우리 손으로 한반도 평화를 이루자는 문 대통령의 ‘담대한 여정’은 북한의 계속된 무력도발로 시작도 하기 전부터 위기에 직면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비정치적이고 인도적인 민간 교류의 문부터 열고 이를 시작으로 대화를 통해 한반도 평화를 논의하자는 문 대통령의 제안에 북한이 어떻게 응답할지가 관건이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