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해”이며 “내년 8·15는 정부 수립 70주년”이라고 말했다. 논란이 많았던 건국절에 대한 현 정부의 입장을 확실하게 밝힌 것이다. 더불어 진정한 보훈은 선열들이 건국의 이념으로 삼은 국민주권을 실현해 국민이 주인인 나라다운 나라를 만드는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2019년까지 임시정부기념관을 건립해 독립운동 정신을 기억하게 하고 보훈문화가 확산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의 이런 뜻은 이미 전날 독립유공자와 유족, 일제 강제동원피해자와 유족 등 240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이루어진 오찬에서 드러났다.

문 대통령은 “독립유공자 3대까지 합당한 예우를 받도록 하겠다.”며 제대로 된 보훈을 위한 국가의 역할을 거듭 강조했다.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을 하면 3대가 흥한다는 말도 사라지게 하겠다는 것이다. 이 말이 시사하듯 지금까지 많은 독립유공자 유족, 후손들은 참으로 어렵고 힘든 시기를 견뎌왔다. 독립투사들이 조국의 독립에 헌신하느라 가정을 돌보지 못한 탓에 후손들은 배움에서 소외됐고 가난으로 고통을 겪어야 했다. 광복 이후 친일파와 그 후손들이 승승장구하면서 부와 권력을 모두 가졌던 것과는 너무나 대조적인 모습이었다.

정부가 이에 맞는 합당한 예우를 하겠다고 하니 늦었지만 이제야 무엇인가 제대로 되어간다는 생각이 든다. 문 대통령은 유공자의 건강과 후손들의 생활보장, 장례의전 확대 등 국가가 예우를 다 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독립유공자들에 대한 예우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여러 가지 까다로운 조건들이 붙어 공평성과 형평성에 문제가 있었다. 해방 이후 정의와 도덕의 기준이 바로 세워지지 않은 채 국가가 움직이면서 독립유공자에 대한 존경 또한 대부분 형식적이었고 국민들의 기억 속에도 점차 사라져갔던 것이 사실이다.

독립운동에 헌신하기 위해 안동 임청각의 전 재산을 처분하고 일가족 50여 명이 서간도로 건너간 석주 이상룡 가문의 사례는 우리 모두에게 나라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한다. 자식들에게 물질적 가치의 중요성보다 지행일치, 자긍심, 애국심을 먼저 가르쳤고 이를 실천에 옮겼다는 점에서 우리 모두의 귀감이 된다. 이제 중요한 것은 대부분 곤궁한 형편에 놓여 있는 고령의 독립유공자와 후손들에 대한 실제적인 예우와 지원이다. 정부가 보훈 보상체계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개선한다고 하니 ‘보훈 잘 하는 나라’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실천하기 바란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