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는 장애인 인구에 비해 복지 인프라가 부족합니다”, “경기북부 장애인분들에게 종합적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합니다” 현장에서 경기북부지역 장애인 단체 관계자를 만나보면 한 목소리로 이 같은 고충을 토로한다.

실제로 필자가 올 3월 의정부에 위치한 경기북부장애인민원상담센터를 직접 방문해 보니 현실은 더 열악했다. 15평 크기 사무실에 담당 인력은 2명에 불과했다. 북부 10개 시군의 민원을 모두 소화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규모였고, 심지어 환담을 나누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협소했다. 더군다나 일반 건물을 임차하고 있어 장애인 편의 기능을 온전히 갖추지 못했고, 다른 기관과 유기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체계도 형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현재 경기북부 등록 장애인 수는 2016년 말 기준 약 15만여 명으로, 도 전체 장애인 인구수 52만여 명의 약 28%를 차지하고 있다. 또 지난 5년간의 통계를 보면 택지 개발 등 인구유입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북부 장애인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실제로 인구대비 장애인 비율도 경기남부가 3.9%인 반면, 경기북부는 이보다 높은 4.5%에 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기북부 장애인들을 위한 복지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현재 도내에 시군 장애인복지관이 32곳이 있지만 이중 남부가 25곳이고 북부는 7곳에 불과하다. 양주, 포천, 연천 지역에는 이마저도 없다. 지리적 여건만 따져 봐도 북부는 도농 복합지역이 상대적으로 많아 주로 도심에 위치한 장애인 복지시설에 대한 접근성 역시 현저히 떨어진다.

경기도는 지난해 장애인인권센터, 장애인가족지원센터 등 6개의 장애인 복지관련 기관을 한데 모아 광역 기능을 지원하는 ‘누림센터’를 수원에 개관했지만 북부 장애인들이 이를 이용하기에는 거리적 한계 등으로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형편이다. 누림센터를 운영하는 종사자들도 북부까지 출장을 와서 지원하기에 효율성이 떨어지는 등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경기도에서는 경기북부 지역도 낙후된 복지지원 체계를 극복하고 경기북부 장애인 지원을 위해 직접적인 복지서비스 제공과 도 지원기관들 간의 상호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기북부 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가칭: 경기북부 누림센터)’의 건립을 추진하게 되었다.

경기도는 북부 10개 시군 대상 공모를 통해 지난 6월 양주시 삼숭동 일원 3,300㎡를 건립부지로 최종 선정했으며, 이어서 지난 7월 경기도의회, 양주시, 양주시의회와 공식적인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현재는 연면적 4,000㎡ 지하1층 지상3층 규모로 2019년 8월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곳은 앞으로 경기북부 내 분산돼 있던 장애인복지 센터와 광역 서비스 기능을 한데 모아 협업체계를 구성·조정하는 허브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북부 장애인들의 복지시설 이용 현장 접근성이 열악한 단점을 보완하고, 북부 장애인 기관 간 복지지원 원스톱(One-stop)체계를 마련함은 물론, 열악한 시군 장애인 시설을 지원할 복지 플랫폼 체계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전국 최대의 지방자치단체인 경기도가 북부지역 장애인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광역센터를 이제야 건립하게 된 것이 다소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북부 장애인들이 만족하는 시설로 조성해 운영한다면 큰 성과가 있을 것이라 믿는다. 앞으로 예산투입의 효율성 제고, 장애인 친화적 공간 조성 등 2년여 간의 건립기간 동안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 장애인 당사자 및 전문가 의견수렴, 적극적 행정절차 추진 등을 통해 해결해 나갈 것이다.

경기북부 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는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 패러다임 개선의 ‘시작’이다. 대한민국의 맏형이 경기도가 시작하면 대한민국 전체가 바뀔 수 있다. 그 약동이 경기북부에서 출발하리라 본다. 앞으로 복지 사각지대 없는 경기도, 장애인들이 ‘사회적 약자’가 아닌 당당한 ‘평등한 사회구성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경기도가 되길 기대해 본다.


김동근 경기도 행정2부지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