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파문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조사가 계속될수록 살충제 검출 농장 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지역도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현재 전국 420곳의 농장에 대한 27종 전체 살충제 여부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 사태에 소비자들이 더 분노하고 있는 것은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장의 90%가 친환경 인증농장이란 점이다. 살충제를 기준치 이상으로 쓰거나 사용해서는 안 될 물질을 사용하면서 이름만 친환경이었던 셈이다. 정부의 친환경 인증을 믿고 비싼 값을 주고 구입했던 소비자들의 충격이 더 큰 이유가 그것이다. 소비자들의 불신이 다른 친환경 농산물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대형 마트 등 계란 판매대에는 친환경 무항생제나 식품안전관리기준(HACCP) 마크가 찍혀있는 제품들이 더 많다. 그런데 이번에 친환경 제품에서 살충제 성분이 더 많이 검출되는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나면서 친환경 인증 제도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정부는 친환경 인증 농장은 살충제를 써서는 안 된다며, 적발된 농장들의 인증을 취소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인증 취소만으로는 간단히 해결할 수 없는 문제다. 도대체 이런 부실한 인증을 누가, 어떻게 한 것인지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인증제도를 관리 감독하는 농산물품질관리원의 퇴직 공무원이 다수 인증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유착 관계에 의심의 눈초리가 쏠리고 있다. 감독기관에서 퇴직한 후 관리기관인 인증업체에 근무한다면 누구라도 유착 가능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유착이 있다면 용납하지 않겠다”고 경고하면서 “국민의 건강을 볼모로 한 매우 위험한 범죄”라고 말했다. 사실 관계를 명확하게 밝혀서 인증제도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을 해소시켜야 할 것이다.

이번 계란 파동으로 많은 국민들이 큰 혼란에 직면해 있다. 소비자들이 피프로닐이나 비펜트린 등 살충제 이름까지 외우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하루 1~2개 정도는 인체에 큰 해가 없고 한 달 뒤에는 독성이 몸 밖으로 배출된다고 하지만 이를 믿을 소비자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살충제 계란 논란은 기본적으로 닭 사육환경이 개선되지 않으면 해결될 수 없다. 지금처럼 극도로 좁은 공간에 수만 마리의 닭을 몰아넣은 밀식 사육형태로는 진드기가 닭에 기생할 수밖에 없고 살충제를 뿌리는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것이다.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이번 기회에 닭 사육방식에 대한 대대적인 개선을 통해 국민 불신을 해소시켜야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