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항 제1항로에서 계획수심 14m가 확보되지 못한 지점 현황. 사진=인천항발전협의회

정부가 인천항 제1항로 수심을 계획보다 더 깊게 만들지 않아 선박들이 입출항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양수산부가 선박 운항에 지장을 준 부산 신항 앞 무인도 제거 공사에는 내년도 예산 수 백억 원을 편성해 정부의 인천항 냉대까지 불거졌다.

인천항발전협의회는 18일 인천항만업계들과 공동성명을 통해 "인천항 제1항로 계획수심은 14m를 기본으로 개장됐으나 항로중앙에 8.2m의 저수심이 존재해 대형선박이 인천항 입항을 기피하면서 항만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인천항 제1항로는 팔미도와 북항을 연결하는 항로로 2012년 개장됐다.

그러나 유루부두 입구는 애초 계획 수심보다 5m 얕은 9.1m이며 일반부두 입구는 8.2m이다. 현재 수심은 대부분 8.2~9.9m다.

인천항발전협의회가 조사한 지난해 선박입출항 통계에 따르면 유류부두를 이용한 선박 총 961척 가운데 394척이 수심 제한에 걸렸으며 일반부두 선박 2433척 중 673척이 수심제한 선박에 해당했다.

각각 전체 41%, 29%에 해당하는 선박들이 입출항에 필요한 수심이 확보되지 않아 만조 때까지 기다리다 운항했다.

인천항발전협의회측은 "인천항 제1항로를 수심확보를 위해서는 국가 재정이 투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수부는 현재 2007년 수역관리권을 인천항만공사(IPA)로 이관했기 때문에 준설 권한도 이양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이귀복 인천항발전협의회장은 "IPA는 준설을 감당할 재정능력이 없다"며 "해수부 등이 제1항로 준설 공사 예산을 1천500억 원으로 추산하고 있으나 인천 신항 준설에 835억 원이 들어간 점을 감안하면 1천억 원 내로 예산 비용이 줄어든다"고 주장했다.

이어 "해수부는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부산항 토도(무인도) 제거 사업비로 3천400여억 원을 확정했고 내년 정부 예산에도 810억 원을 반영했다"면서 "인천항 준설 논란은 5년간 끊임없이 제기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국비가 지원되지 않는 것은 홀대론을 뒷받침 하는 행보"라고 지적했다.

그는 "수도권관문 역할을 하고 있는 인천항이 국가 중요 인프라임을 참작하고 항만운항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인천항에 대한 국비 확보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조현진기자/chj@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