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흙에 박힌 교량 구조물 쉽게 끌어내기 힘들고 노동부 중지명령·연휴 등 겹쳐 60일 조사일정 턱없이 모자라

▲ 평택 국제대교 붕괴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국토부 건설조사위원회 활동일정이 보름여를 앞두고 있지만 각종 악재가 겹쳐 조사는 지지부진한채 흉물스럽게 잔해만 남아있다. 사진=중부일보DB
평택 국제대교 붕괴 이유는 사고발생 넉달이 지나는 올해 연말까지도 확인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인 건설사고조사위원회의 활동 기간이 불과 보름여 밖에 남지 않았지만 원인 규명은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다.

43번 국도 정상화 작업과 노동부 작업중지명령, 열흘간 추석 연휴, 붕괴 잔재의 매몰 등 각종 악재가 겹쳐 실질적 조사활동이 이뤄지지 못했다.

10일 국토교통부 건설사고조사위원회와 평택시 등에 따르면 당초 지난 8월 28일부터 오는 27일까지 60일로 예정됐던 건설사고조사위원회의 활동기간이 연장될 전망이다.

앞서 국토부는 8월 26일 평택 국제대교 붕괴사고 발생 이틀 뒤인 28일 조사위를 구성, 60일간의 조사일정에 착수했다.

평택 국제대교의 정확한 사고원인 규명과 유사사고 방지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조사위는 위원장인 김상효 연세대 교수를 비롯한 분야별 전문가 12명으로 구성됐다.

국토부는 조사위를 설치하며 “이번 사고조사는 기술적 문제에 국한하지 않고 불법하도급 여부, 현장관리 체계의 적정성, 안전한 작업환경 확보 여부 등 산업 구조적 문제까지 포괄적으로 조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조사위의 활동기간이 불과 17일 밖에 남지 않은 현재시점에서도 명확한 붕괴원인조차 규명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이후 무너진 상판 철거를 위해 전면통제됐던 43번 국도의 우선 개통작업과 열흘간 추석연휴, 1m당 50t에 달하는 상판 일부가 하천 바닥에 매몰돼 조사작업이 지연되는 등 각종 악재가 겹친 탓이다.

실제 평택시는 일평균 통행량 6만1천136대인 43번 국도의 추석 연휴 전 정상화 작업을 우선 추진해 사고 발생 2주 만인 지난달 9일 재개통했다.

43번 국도 재개통 이후에도 조사 작업은 좀처럼 진척되지 않았다.

교량 붕괴 이후 노동부에서 추가 사고 발생을 우려해 43번 국도 재개통을 위한 철거 작업 외 국제대교 인근 현장의 모든 작업을 중지시켜서다.

노동부의 작업중지명령은 추석 연휴 직전에 해지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더해 열흘이라는 최장기간 추석 연휴까지 겹치며 60일로 예정됐던 조사위의 활동기간 중 45일 가량이 큰 소득 없이 지나간 셈이다.

활동 기간이 연장된다고 하더라도 올해 안에 원인 규명이 이뤄질 지도 불투명하다.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서는 현재 가도(공사를 위해 임시로 설치한 도로)에 파묻힌 교량 상판 잔재를 철거하며 조사를 진행해야 하는데, 토목구조, 토목 설계·시공 등 분야별 조사위원들이 매번 한 자리에 모이기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이다.

김상효 조사위원장은 “현재 교량이 진흙에 파묻혀 있는데 1m당 50t에 달하는 구조물을 쉽게 끌어낼 수도 없고, 무작정 철거하면 원인 규명이 안 돼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조사위원들도 다 분야별 전문가들이어서 매번 투입되기 쉽지 않다. 60일 내에 끝나기는커녕, 10월말까지 (상판을)파내기만 해도 다행이다”고 토로했다.

황영민기자/hym@joongboo.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