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IBD(국제업무단지)개발사업 사업자인 NSIC(송도국제도시개발유한회사)의 양대 주주인 미국 게일사와 포스코건설 간 갈등이 끝내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넨 듯 하다.

인천경제청은 지난 2일 ‘NSIC가 리파이넨싱을 통해 포스코건설이 떠안고 있는 PF 보증과 포스코건설에 대한 미지급 공사비를 해소하는 조건으로 포스코건설이 시공권을 포기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경제청은 이번 합의로 지연됐던 아트센터 기부체납을 정상화하고, 송도 IBD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9월말 취임한 김진용 청장이 송도 IBD 개발을 정상화하기 위해 모두 7회에 걸쳐 게일과 포스코건설 대표단을 불러 협상중재회의를 통해 얻은 결과물이라는 분위기다.

경제청의 중재를 통한 합의로 장기간 사업 중단 소송전으로 갈 수 있었던 송도 IBD 개발을 정상화하는 단초가 됐다는 것이다.

겉으로만 보면 그럴듯도 하다.

게일사와 포스코건설은 지난 2015년 하반기 게일사의 미국 세금 문제 등으로 갈등이 심화됐다.

2년여 동안 양측간 고소·고발 등 법적 갈등이 최고조에 달하면서 계획된 사업은 지연되고, 이미 공사가 끝난 아트센터의 기부체납이 중단되는 등 곳곳에서 문제가 불거졌다.

송도IBD는 송도 1·3공구 부지에 송도컨벤시아, 채드윅국제학교, 잭 니클라우스골프장, 아트센터 인천, 동북아트레이드타워 등 대단위 상업·업무시설을 건립하면서 송도국제도시 성장을 이끈 인천경제자유구역의 핵심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사업이 멈춰선 것이다.

지난 연말 양측은 게일이 일부 블록을 직접 개발하고, 포스코건설이 도래한 담보 패키지 물건 5번과 6번을 리파이넨싱 하는 조건으로 NSIC 이사회 구성을 일부 조정하는 것으로 합의하기도 했다.

그러나 곧바로 게일 측에서 합의 무효를 선언하면서 패키지 물건 리파이넨싱에 응한 포스코건설은 게일을 사기로 고소하기에 이르렀으며, 갈등이 지속되는 동안 새롭게 도래한 패키지 4번의 담보(3천800억원)를 대위변제한 포스코건설은 자금회수를 이유로 공매를 추진했다.

이 시점에서 경제청이 중재에 나서게 됐고, 포스코건설은 합의 할 수 있는 조건으로 ‘송도 IBD 개발을 위해 포스코건설이 떠안은 1조원이 넘는 지급보증을 해소하고, NSIC가 밀린 공사비 7천여억원을 해결하면 시공권을 포기하겠다’고 했다.

이를 해결할 수 없으면 지난 연말에 한 합의로 복귀할 것을 주문했다.

포스코건설은 NSIC 파트너이자 갈등 상대인 게일 측이 더 이상 답을 찾지 못하면 자신의 주장을 따를 수밖에 없을 것이란 판단도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게일 측에서 조건을 수용하고, 포스코건설과는 사실상 결별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나섰다.

일견 모든 문제가 정리된 모양새다.

말 그대로 앞으로는 모든 사업을 NSIC가 주도해 추진하면 간단하다.

문제는 사업 정상화의 관건은 게일사의 새 파트너 찾기인데, 천문학적 금액의 지급보증을 대신 설 파트너를 구하기가 쉽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업계는 국내에서 그 정도의 금액을 지급보증할 만한 회사는 대략 4~5개에 불과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당장 다음달과 내년 1월에 걸쳐 2개 패키지에 대한 상환 기일이 도래하는데 그 때까지 게일사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느냐도 관건이다.

포스코건설도 더 이상은 게일을 파트너로 배려하지 않을 것이 분명하다.

2개 패키지에 대한 대위변제 책임이 있는 포스코건설은 돈을 대신 갚게되면 곧바로 담보물건을 확보할 것이다.

2개 패키지에는 스탠 게일의 NSIC 지분도 담보로 걸려 있는 것으로 알려져 게일사 측으로서도 자칫 송도 IBD의 모든 시행권을 상실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활이 걸린 도박을 한 셈이다.

이번에 한 방 맞은 포스코건설도 합의가 종료된 만큼 앞으로의 모든 문제는 법적 절차에 따라 처리할 수밖에 없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경제청이 합의안을 보도한 직후 “경제청 중재로 합의가 이뤄진 만큼 이행 상황을 지켜보겠다”고 한 포스코건설의 반응에는 ‘섭섭함과 괘씸함’이 묻어나고 있다.

한마디로 포스코건설의 태도는 ‘이제 알아서 해봐라’인데 이번 합의가 경제청의 바람대로 송도 IBD 개발의 단초가 되면 다행이겠지만 크고작은 우려의 소리가 나온다.

송도 개발이 하루빨리 정상화 돼야 한다는데는 됐으면 이견이 없지만 이번 합의가 두 파트너를 ‘화해’로 이끌지 못한 것은 분명하다.

어느쪽이든 결과가 좋으면 성공이겠지만 어딘가 불안하고, 미덥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강광석 인천편집국장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