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최근 정부 자금지원 발표와 관련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업계측 입장은 자금지원 보다 우선 중단된 공단가동이 기업의 경영난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기 때문이다.

특히 인천기업들은 자금지원조차 업종 현실을 반영치 않은 미봉책이란 주장이다.

13일 개성공단기업비상대책위원회와 통일부는 이날 총회에서 ‘660억 원 자금지원’에 대한 후속 합의를 타결했다.

비대위는 지난 10일 정부가 발표한 660억 원 자금지원을 우선 받아들이기로 했다.

이와 함께 대책위는 개성공단 재개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정부에 전달했다.

인천개성공단입주기업협의회가 밝힌 향후 기업의 요구안은 ‘비대위는 정부의 피해지원에 협조하고, 금융과 세재, 고용 등 정부의 추가 지원대책 마련’ 이다.

업계는 이 같은 내용을 통일부에 전달할 예정인 가운데 공단 재개의 주장에 한층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반면 인천 기업들은 정부안을 받아들이면서도 업종 별 현실이 반영되지 않았다며 이의을 제기했다.

조경주 인천개성공단입주기업협의회장은 “최근 정부가 발표한 660억 원 자금은 유동자산 지원에 집중돼 사실상 인천기업들에겐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말했다.

지식센터 입주기업 A대표는 “섬유 업종은 단추와 바늘 하나까지 명확하게 파악이 되지만 기계 업종은 현실적으로 집계가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정부의 추가 지원금은 유동자산은 516억 원인데 비해, 토지 등 고정자산은 144억 원에 불과하다.

인천 입주기업의 경우 18곳 중 대다수가 기계 업종에 몰려있어 유동자산을 적용하기에는 역부족이 될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업종 별 현실이 반영되지 않는 지원책과 별개로 업체들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상태다.

5곳 기업은 임대료 감면 혜택을 주는 한국산업단지공단 경기본부의 시화지식재산센터에 입주했다.

이 업체들은 지난해 3월 첫 입주한 이래 최근까지도 실면적 412㎡에 세를 들어 공간을 활용하고 있다.

산단공 관계자는 “계약 첫 해는 임대료 무료, 3년차까지는 임대료 절반만 내도 되기 때문에 최근까지도 공실이 나면 기업들이 이곳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개성공단 입주기업 2곳도 기업 경영의 어려움을 이유로 강화산단 입주조차 현재 불확실한 상태다.

최문석기자/chlanstjrig@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