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중국 곤명에서 개최되는 ‘한·중해운회담’에서 인천~북중국간 항로 개설 논의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15일 항만업계에 따르면 현재 인천~북중국간 물류 수송은 육상 운송과 타항만 이용 등으로 불필요한 비용이 지출되는 실정으로 비용절감과 인천항 물동량 확대 측면에서 항로개설이 시급하다.

한·중해운회담에서 한·중간 컨테이너 항로개설은 지난 2005년 공식 의제로 마지막 다뤄졌다.

한중간 컨테이너 항로개설과 화물운송은 황해정기선사협의회를 통해 항로 개설 관리(항권) 형태로 조율된다.

한중 카페리를 개설한 인천항과 평택항은 기존 선사들과의 이해관계 등을 고려해 북중국(상해, 닝보항 포함)간 항권을 사용할 경우 한중해운회담을 통해 양국 정부의 동의를 이끌기로 합의가 이뤄진 상황이다.

항권은 국내 국적선사와 중국국적선사가 각각 39개와 46개씩 나눴고 국내 국적선사는 34개를 개설해 현재 잔여 항권은 5개이다.

당시 회담에서 2009년부터 카페리 미기항 항만간 항로를 우선 개방하고 2012년에 모든 한중항로를 개방키로 했다.

이후 2009년 세계 경제가 침체로 한중 물동량이 감소하면서 현재까지 개방에 대한 협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인천항은 대중국 교역 거점항으로 올해는 컨테이너 물동량 300만TEU 달성과 함께 인천신항 1-1단계 전면 개방으로 향후 컨테이너 물동량은 더욱 늘어난 전망이다.

카페리선 수송 실적은 5년간 0.7% 감소추세를 나타낸 반면 대중국과의 물동량은 연평균 9.4% 증가하고 있다.

2014년 기준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 중 인천항의 비중은 약 19%이며 인천항과 북중국 항만과의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은 전체 46.5%를 차지한다.

그러나 2015년 기준 한·중 정기항로는 부산항 76개, 광양항 41개, 울산항 38개에 비해 수도권 거점 항만인 인천항은 17개에 불과하다.

인천항만 업계 관계자는 “신항 개장에 발맞춘 북중국 취항을 위해서는 중대형 선사를 유치할 필요가 있다"며 "한중해운회담에서 공식 논의를 거쳐 양국이 합의하면 대중국 화물 증가세를 견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현진기자/chj@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