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내 대중국 수출입 화물의 30%가 인천~북중국 항로 부족으로 운송요금이 저렴한 부산항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인천~북중국 간 항로 개설 논의를 한중해운회담에서 본격화해야 한다는 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국내항만을 경유해 북중국(닝보항 기준 북쪽)으로 수출입된 수도권 컨테이너는 총 80만TEU다.

이 가운데 인천항에서 처리한 컨테이너는 38만TEU로 국내에서 가장 높은 비중인 48.0%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부산항은 30.4%(24만3천TEU), 평택당진항 17.4%(13만9천TEU), 광양항 2.2%(1만8천TEU) 순서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천과 평택의 경우 한중해운회담을 통해 한중으로부터 항로 개설 동의를 받아야한다는 조건 때문에 인천~북중국 간 선박투입에 제한이 있는 실정이다..

KMI 분석 자료를 살펴보면 인천~중국 간 정기항로는 17개로 76개 개설된 부산항의 22% 수준이다.

국내 화주들은 수도권 화물을 수도권 항만에서 처리해야하지만 항로 개설 제한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보유한 부산항을 이용하고 있다.

항로 개설 제한은 물류 흐름을 방해하면서 물류비 증가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 인천~상해 간 컨테이너 운송 요금은 약 500달러인데 비해 부산~상해 요금은 200달러로 인천항의 절반보다 훨씬 저렴하다.

또 수도권 화물을 육상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매연 등 환경오염과 도로 파손 등 사회적 비용도 문제가 되고 있다.

화주들은 인천~북중국간 신규항로가 신설될 경우 타 지역으로 가는 화물이 수도권 항만에서 처리돼 물류비가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천신항 개장 등 물류환경 변화에 따라 인천권역에서 한중항로를 개방하고 신규선박 투입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KMI 관계자는 "항로 정책에 대한 변화는 관련된 환경요인에 대한 검토와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의 의견 수렴과 협의가 필수적"이라며 "대내외 환경변화를 반영하고 관련 당사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현진기자/chj@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