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합의 무색·혈세낭비 지적

▲ 38년째 상수도보호구역으로 규제에 묶여있는 진위천의 모습. 연합
38년을 끌어온 평택과 용인·안성시간 상수원보호구역을 둘러싼 갈등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 모양새다.

경기도와 3개시가 함께한 연구용역 결과가 나왔지만, 평택·용인·안성 모두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이처럼 연구용역 결과를 이행하자는 지자체간 합의가 무색해지자, 지역사회에서는 2007년에 이어 10년 만에 혈세낭비가 되풀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1일 경기도청에서 이재율 행정1부지사 주재로 3개시 부단체장 간담회에서 평택·용인·안성은 모두 연구용역 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지난달 21일 발표된 ‘진위·안성천 및 평택호 수계 수질개선과 상하류 상생협력 방안’ 연구용역 결과 송탄과 평택 상수원보호구역의 ‘변경’이 최적이라는 의견(중부일보 2017년 11월 22일자 1·3면 보도)이 도출된 바 있다.

취수방식의 변경과 광역상수도망 연장 공급 등으로 물 부족분을 채울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상수원보호구역을 축소·해제하더라도 평택호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연구용역을 수행한 도수자원본부와 경기연구원은 당초 지난 2일까지 최종보고서를 작성하려 했으나, 연말까지 지연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용인과 안성은 상수원보호구역의 ‘완전해제’를, 평택은 단 한 평도 해제할 수 없다는 ‘존치’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10년 전 사례가 반복되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용인과 평택시 송탄상수원보호구역으로 갈등을 빚던 2006년 김문수 전 경기지사의 중재로 4억6천만 원을 들여 진행한 ‘진위천 일대의 친환경 상생발전을 위한 연구용역’이 휴지조각이 된 전례가 있어서다.

당시 용역결과는 상수원보호구역 존치로 결정됐지만, 양 도시간 의견차이를 좁히지 못했고 결국 10년 만에 같은 내용의 연구용역을 5억 원을 들여 반복하게 됐다.

이번 연구용역 발주시에도 3개시는 협약을 통해 ‘공동연구 결과의 이행을 합의’키로 했지만, 이같은 상황에서 합의가 이행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도 관계자는 “앞으로 최소 2주간 3개시의 의견을 추가 수렴한 후 모두가 합의할 수 있는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황영민기자/hym@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