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기야 7명의 사상자를 낸 경기 용인 타워크레인 붕괴사고 직전 크레인이 움직였다는 목격자 진술까지 나오고 있다. 그동안 안개속이던 이번 타워크레인 붕괴사고가 인상작업 도중에는 크레인을 움직이지 않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운전자 과실에 의한 사고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고용노동부와 경찰 등이 근처 목격자로부터 “사고 직전 타워크레인 트롤리가 움직이는 것을 봤다”라는 진술을 확보하면서 얘기가 진전되어 가고 있는 것은 다행이다. 하지만 우리는 건설붐에 전국 곳곳에 올라가고 있는 타워크레인이 제대로 된 감독 없이 돌아간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 이번에도 그렇다. 트롤리는 타워크레인의 팔 역할을 하는 가로방향 지프에 달린 장치로, 건설자재를 옮기는 훅의 위치를 조정하는 일종의 도르래인데 사고 직전 트롤 리가 움직였다는 것은 사고가 예상된 것과 다름없다.

전문가들은 대개의 크레인 인상작업 중에는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해 훅에 마스트 1개단을 걸어놓고, 트롤리로 조정해 메인 지프 중간쯤에 훅이 위치하게끔 해놓는데 만일 인상작업 중 트롤리가 움직였다면, 갑자기 무게중심이 바뀌면서 타워크레인이 균형을 잃고 쓰러질 수 있다는 얘기를 하고 있다. 일단 한번 났다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이러한 타워크레인의 사고를 철저히 막으려면 무엇보다 현장에서의 긴장이 가장 중요하다. 그럼에도 인상작업 중에 크레인을 움직이는 것이 목격됐다면 큰일이다. 트롤리가 움직였다면 크레인 기사가 실수로 그랬거나, 인상작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작업자 등이 움직여 달라고 부탁했을 수도 있다. 이것부터가 잘못된 일이다.

당장 경찰에서는 아직 수사 초기라 수사상황을 확인해 줄 수 없다고 하고 고용노동부 등은 트롤리가 움직였다는 목격자 진술이 사실인지, 그렇다면 그 이유가 뭔지를 조사할 예정이지만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인재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정치권에서도 나섰다. 더불어민주당은 10일 용인 타워크레인 사고와 관련해 “타워크레인 안전사고에 대한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촉구하면서 타워크레인 사고로 올해만 17명이 사망한 것을 놓고 언급했다. 문제는 이렇게 사고가 윗선에서 사고 예방을 위한 종합적 조치를 요구하고 있어도 현장에서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무엇보다 안전불감증에 있다는 판단이다.

여기에 노후 장비와 하청에 재하청하는 관행, 안전점검 미비, 현장지도 소홀, 안전예방 교육 소홀 등 다양한 원인도 분명 존재할 것이다. 어떤 안전사고도 일단 발생하면 변명이 필요없게 된다. 더구나 인명사고가 나면 대개 사후약방문만 남발하게 되는 것을 우리는 수도 없이 목격해 오고 있다. 이래서는 해를 거듭할수록 사고의 기록만 깰 뿐이다. 생명이 오가는 건설현장은 특히 더하다. 장비가 매년 좋아져서 규모도 덧붙여 덩치가 커지고 있다. 그렇다면 여기에 상응하는 안전규칙과 감독도 늘어나고 강화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이번 용인 사고의 고인들에 대한 명복을 빌며 다시는 같은 사고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정부나 지자체의 지휘감독체계 틀을 더 없이 정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