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3일부터 16일까지 3박4일 일정의 중국 국빈방문을 앞두고 주말 공식 일정을 비우는 등 방문 준비에 매진했다.

내년도 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한데 이어 신임 감사원장 후보자로 최재형 사법연수원장 지명 등 내치(內治)문제가 해결된 만큼 다시 외치(外治)에 나서고 있다.

문 대통령은 취임 후 첫 국빈 중국 방문에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로 경색됐다가 해빙기를 맞이한 한중관계를 완전회복의 계기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문 대통령은 방중기간 예정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과 리커창(李克强) 총리와의 회담 준비에 진력하고 있다.

문 대통령이 취임 이후 시 주석과 만남은 지난 7월 독일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와 11월 베트남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이후 세번째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의 세 번째 회담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예상 의제 검토와 중국 측을 설득할 수 있는 자료와 논거를 점검했다.

문 대통령은 주말에도 참모들로부터 방중관련 보고를 받고 정상회담 의제 등을 검토할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에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문 대통령에게 중국 방문과 관련한 세부사항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정상회담의 화두는 북핵 해법과 한중관계 정상화가 될 전망이다.

지난달 말 북한이 신형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화성-15’발사 후 한중 정상회담서 어떤 대북해법을 도출하느냐에 따라 한반도 정세의 분수령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견인하기 위해 최고 수준의 압박과 제재에 동참해 줄 것을 요청할 것으로 보이지만 시 주석이 전부 수용할 가능성은 낮다. 하지만 국제사회가 북핵 도발을 규탄하고 있는 만큼 일정부분 동참 의사를 피력할 가능성은 있다.

사드 배치 이후 악화된 양국간 관계회복도 과제다.

중국의 경제 보복 완전 철회 등을 통한 한중관계 정상화에 양국 모두 어느 정도 공감대를 이루고 있는 만큼 이번이 적기라는 판단이다.

하지만 사드 문제가 최대 변수다. 지난 10월 31일 사드 문제와 관련한 상대국의 입장을 이해하고 양국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키자는 내용의 합의문을 발표했지만 이번 정상회담서 사드 이행 합의를 또다시 촉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청와대는 충칭(15∼16일) 방문 준비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다. 김재득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