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사고 재발방지' 한목소리… 전국 등록기기 6천여대 불구
설치·해제 인력 턱없이 부족
"용인 사고크레인 국내 5대뿐… 작업자들 사용 어려웠을 것"

전국에서 잇따르고 있는 타워크레인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전문 인력부터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현장에서 나오고 있다.

11일 타워크레인 전문 업계 등에 따르면 현재 대부분 공사 현장에서는 시간과 인력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다는 이유로 건물 층수와 상관없이 타워크레인이 많이 사용된다.

문제는 타워크레인 설치·해체작업에 종사하는 인원이 타워크레인 전체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현재 전국에서 타워크레인 설치·해체작업 종사자는 650여 명으로 추정된다. 업계에서는 이들이 3천여대의 타워크레인 설치·해체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올 9월 기준 국내 등록된 타워크레인은 총 6천74대에 달해 전문 인력이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 현실이다.

한상기 한국 타워크레인임대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정부가 지난 11월 크레인 노후화에 초점을 맞춰 대책을 발표했지만 결국 문제는 인력 문제다”며 “현재 있는 인력으로는 국내에 있는 크레인의 절반밖에 소화할 수 없으며, 인력이 부족하다 보니 한 업체에 일감이 몰리고 하루에 2~3건씩 맡기도 하면서 절차를 무시하는 상황이 발생해 결국 사고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더욱이 타워크레인 설치·해체작업 전문 업체는 작업에 필요한 최소인원(대표자 포함 5명)으로 운영되고 있는 영세한 업체로, 기술발달에 따라 새로운 타워크레인이 도입되고 있으나 그에 따른 기술교육이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도 전문가 주장이다.

이 때문에 9일 용인에서 붕괴된 타워크레인(모델명 MD1100)도 국내 5대 밖에 없는 기종인 만큼 사용에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인상작업 방식도 작업자가 마스트를 핀으로 고정하기 위해 일일이 해머로 쳐야하는 등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타워크레인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정회운 한국노총 타워크레인 설·해체 노동조합 위원장은 “보통 공사현장에서 쓰는 건 12t, 14t인데 MD1100의 경우 40t에 달한다. 이 정도 크기를 쓰는 공사현장이 거의 없는 만큼 이 기계를 사용해 본 사람도 거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유 한국 크레인협회 부회장은 “인상작업 할 때 기종간 차이점이 있음에도 작업자가 인식하지 못했거나 크레인 조종사가 이 기종에 대한 경험이 없어 사고가 발생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찰 당국과 고용노동부 관계자 등은 “현재 기계결함, 작업자 실수 등 다양한 가능성을 두고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변근아기자
▲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