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지역에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경기북부지역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의 수용인원이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주간보호시설 이용대상자(장애 2·3등급)보다 크게 부족하다.

고양시의 경우 이용대상자 1만1천352명이 거주하는데 지역 내 8개 보호시설의 수용가능 정원은 269명에 불과하다.

남양주시도 8천289명이 거주하는데 시설 정원은 100명(4곳)에 그치고 있으며, 의정부도 6천80명 중 60명(3곳), 파주는 5천876명 중 55명(3곳)만 받아들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보호시설이 부족한 이유는 시설을 운영하기에 경제적 환경이 뒷받침되지 못해서다.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은 시·군 관리시설로 분류돼 국비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의정부시 민락동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의 경우 신설 당시 건물임대료만 2억 원이 투입됐고, 월세도 매달 100만 원씩 별도로 납부하고 있지만 국비 지원이 되지 않으면서 시설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른 주간보호시설들도 1년 운영비가 1억~1억5천만 원 이상이 들어가는데다 시설 특성상 다중밀집지역에 위치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임대료가 부담으로 작용한다고 도는 설명했다.

높은 운영비와 함께 인력부족도 보호시설 확대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경기북부에 위치한 24개 보호시설에서 500명의 장애인이 121명의 사회재활교사 도움을 받고 있지만 일손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 같은 상황을 감안해 경기도는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에 대한 지원을 기존 시설 당 1천만 원을 지원하던 것에서 시설운영비 10%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도는 지원확대를 위해 기존 2억3천만 원이던 지원비를가 5억1천여만 원으로 확대하도록 ‘장애인 주간보호센터 운영’ 예산을 확대 신청한 상황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장애인 주간보호시설은 ‘장애인들을 위한 어린이집’이라고 보면되는데 시설의 필요성을 알고 있어도 건물 임대료 부담 등의 이유로 시군에서 확대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원의무가 없는 도에서 시군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지원해왔고 이번 확대도 기정사실화 됐지만 사실상 주간보호시설은 중앙정부에서 복합타운 등을 건립해 종합지원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서희수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