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이란 인공지능과 사물 그리고 인터넷 등 정보통신 기술들이 사회와 경제에 직접적으로 융화돼 변화하는 것이다.

여기서 ‘융화’라는 단어를 가지고 현재의 정치를 논해보자.

한마디로 여·야간 협치는 없다. 그래서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정치는 아직도 미개한 1차적 군집이다.

요즘 SNS를 통한 정치가 트렌드다. 모바일을 통한 정치 홍보, 역량 강화, 어찌보면 그럴듯한 지능정보사회에 맞춤형 정치로 오인할 수 있다.

하드웨어만 4차적 정치혁명인 것이다.

2년 전 알파고가 3천만 건의 기보를 자가학습하고 1천200대의 컴퓨터를 인터넷으로 실시간 연결해 인공지능기술과 데이터, 네트워크 기술이 결합해 바둑 입신의 경지에 오른 세계 1인자인 이세돌에게 승리를 거두었을 때 전 세계인은 경악을 금지 못했다.

이토록 현재는 급속도로 변화와 발전을 꾀하고 있는데 정치판은 어떤지 한번 들여다 보자.

권모술수가 난무하고 네거티브, 발목잡기, 카더라 통신 등 현실과 동떨어져도 너무 떨어졌다. 왜 정치만 유독 구태의연한 1차적 산업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걸까. 아니 그것을 즐기는것만 같다. 중앙 정치는 정권쟁취에 눈이 멀어 협의 없는 일방통행으로 민생은 뒷전이고 당론이 법이다.

여당은 정권 유지를 하기위해 꼴값을 떨면서 치적 쌓는 반면 야당은 정권을 쟁취하기 위해 여당 흠집내기를 일삼고 있다. 그래도 중앙정치는 각종 여론에 선각자적인 사고를 가진 일부 정치인들에 의해 통큰 합의가 이뤄지곤 한다.

2018년도 정부 예산 편성시 문재인 정부의 취업정책인 공무원 17만 4천 명 증원을 놓고 여야가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9천475명으로 극적 타결이 된 것은 그 좋은 예라 하겠다.

그런데 지방정치는 어떠한가? 승자독식 주의, 숫적 우위에선 고대 사회에서만 볼만한 실력행사 등에 의한 패거리 정치는 이젠 식상하기만 하다.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는 상생, 협치가 이뤄져야 시민들이 행복하다.

지방의회는 변해야 산다. 시대를 역행하는 구태의연한 정치는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

내년도에는 지방선거가 예정돼 있어 이미 치열한 선거전이 시작돼 과열 양상을 띄기까지 한다.

출마 예상자들은 작은 친목회부터 큰 송년회까지 아마도 몸이 열 개라도 부족하리만큼 행사 참석에 분주한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지만 시민들의 시선은 싸늘하기만 하다.

지방의회 무용론은 어제, 오늘의 말이 아니다. 분명코 지방의회는 시민의 대변기관으로 지방자치를 실현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의결기관이다.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중장기 대책은 총체적인 대응은 그리고 포괄적인 변화는 무엇인지 지방선거 출마자는 각성하고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1차적 산업 혁명이 아닌 4차적 산업혁명에 무임 승차할 수 있는 인성과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우리는 종종 다른 것을 틀린 것으로 생각해 갑론을박을 한다. 그렇다고 협의가 되는 것도 아니면서 하지만 나와 다르다고 외면하거나 비판으로 틀림만 강조할 것이아니라 먼저 상대에 대한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한다면 과연 우리 사회는 어떻게 변할까.

로봇과 인공지능의 합체로 융화로 새로운 혁명이 시작되는데 지방의회는 아직도 순수 인간대 인간으로서 하나가 되지 못하고 있으니 4차적 정치혁명은 요원하다.

그래도 한 가지 희망만이 엿보인다.

우리의 대변인을 선출할 수 있는 시간은 충분하다. 다만 그전에 겪었던 정치인의 헛된 공약과 포퓰리즘에 속아서는 안된다.

다가올 변화와 미래를 준비하는 시대에 적합한 4차 정치혁명을 움켜진 그러한 인물이 돼야 한다.

지금까지는 잊자, 용서하자, 제로점부터 시작해서 내년 6월13일 종착역에 과연 누구의 머리에 월계수를 씌어줄지 유권자들은 끊임없는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검증에 검증을 해야만 한다.

김유석 성남시의회 의장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