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청소년 정신건강 (完)전문가 제언

멍든 청소년은 갈 곳이 없다. 우울증, 스트레스 등으로 청소년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켜진 지 오래지만, 이들에게 치료와 학업을 함께 제공하는 교육 시스템 마련은 요원하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 따르면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및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에서 실시한 청소년 정신건강 상담 건수는 2013년 2만4천978건에서 2014년 3만2천658건, 2015년 4만1천464건, 2016년 5만1천639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타개하고자 일부 지자체와 교육청은 10여년 전부터 병원과 협약을 맺고 장기 입원중인 학생이 치료와 학업을 병행할 수 있는 ‘병원학교’를 운영중이다. 하지만 경기도내에는 정신건강 문제로 장기입원이 필요한 학생에게 학습권을 제공할 수 있는 병원학교가 없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본보는 위기에 빠진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를 되짚어보고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날로 심각해지는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에 대해 전문가들은 한 목소리로 교육부 지침을 넘어 청소년 치유와 심리를 강화하는 사회 전반적인 제도 마련을 촉구했다.

특히 병원학교라는 틀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치유 시스템을 제시했다.

김아신 마음자리 심리 상담센터 소장은 10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정신건강은 성인이나 아이에게나 다 중요하다”며 “단순히 관리 시설 등을 만드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근본적으로 학생을 이해하고 치유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김 소장은 “어찌 보면 정신건강을 다루는 전문 병원을 만드는 것 조차도 협소할 수 있다”며 “민간정신건강센터와 학교가 연계하는 등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가 형성돼야 하며, 우리 또한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시설 확보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접근부터 나서야 한다는 지적인 것이다.

조영숙 신한대 아동상담 정신건강 교수 역시 “지금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학생을 병원학교로만 해결할 일이 아니다”라며 “초등학생을 비롯 유아, 아동기에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가 절대적으로 많은데 이에 대한 장애등록이 안 돼 보호자는 고충을 겪는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이어 “오랫동안 병원학교에 입원했다가 심리치료를 받은 아이가 있는데 병원학교를 나오고 나서 다시 어두워졌다”며 “밖에서 마주하는 편견과 차별, 멸시를 겪었기 때문이다. 단순히 병원학교라는 껍데기를 추구할 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사회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 같은 의견에 공감하면서, 보다 구체적인 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재욱 강남대 초등특수교육 교수는 “현재 우리 사회에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아이를 제대로 교육할 만한 시스템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경기도가 이렇게 큰 곳인데 정신건강 치료와 학업을 병행하고자 하는 수요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나”고 반문했다.

이 교수는 “병원학교도 좋지만 ‘병원학급’이라는 개념이 생겨야 한다”며 “경기도에 큰 대학병원이 많은데 병원내 산하기관, 센터를 두는 개념으로 운영하면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강진령 경희대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교수는 “미국의 경우 상담교사를 학생 250명당 교사 1명을 맞추는 게 보통”이라며 “반면 우리는 한 학교당 교사 1명에 그치기 때문에 아동과 청소년을 직접 도울 수 있는 인력 확충 또한 필수다”고 말했다.

정성욱기자
▲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