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때만 되면 활발해진 경기 분도론이 웬일인지 시들해진 상황이란 소식이다. 한강 이북 경기도 10개 시·군을 분리해 경기북도를 만들자는 분도(分道)론이었다. 하지만 지방선거를 100여 일 앞두고 갑자기 주춤해진 모양새가 오히려 이상하게 여겨질 정도다. 어쩌면 이같은 배경에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논란의 여지가 될 수 있어 차라리 선거 이후로 논의를 미룬 것 아니냐는 지적도 상당한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경기북부 지역정가에서도 올해 들어 경기도 분도 요구와 관련해 이렇다 할 움직임이 없는 상태이고 지난 해 초만 해도 활발하게 논의가 이뤄진 사뭇 다른 양상은 마치 폭풍전야의 그것과 같은 양상이기도 하다.

알려졌다시피 지난해에는 자유한국당 김성원 의원이 5월 ‘경기북도 설치 등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그리고 9월 소관 상임위원회인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첫 국회 심의가 이뤄진 것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더구나 이러한 과정에서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의 ‘경기북도 설치 건의안’ 채택을 비롯해 동두천시의회, 의정부시의회, 남양주시의회, 포천시의회, 양주시의회 등 경기북부 기초의회가 잇따라 경기북도 설치를 촉구하며 분도에 대한 기대가 그 어느 때보다 높아 이 문제가 곧 어찌될 것 같은 분위기를 감지한 바 있었다. 지난해 10월만 해도 경기 분도를 주제로 경기북부 발전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지만 어찌된 일인지 올해부터 이러한 얘기가 사그러든 분위기다.

물론 이러한 선거 때마다 주요 이슈로 거론되다 선거만 끝나면 언제 그랬냐는 식의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예전의 모습이었다. 의원들 역시 이구동성으로 지방선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이라 국회에서 논의를 선거 이후로 미룬 것 같다는 분위기를 전하고 있다. 그러니까 현재의 분위기로는 선거 이후에야 논의가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는 결론이다. 이러한 분도론은 실상 한강 이북 10개 시·군을 경기도에서 분리해 별도의 광역자치단체인 경기북도를 만들자는 논의로 지난 1987년부터 선거 때마다 단골 메뉴로 등장해 왔다. 인구수만 봐도 가능성이 있었다. 북부는 10개 시·군의 인구가 지난해 말 기준 335만7천324명이나 된다. 숫적인 면으로 보자면 전국 광역자치단체 5위에 해당하는 외형이다.

따지고 보면 그간의 분도론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다는 당위성과 불필요한 자리 만들기를 위한 게리맨더링이란 반대의 의견으로 나뉘어 졌다. 이렇게 북도와 남도로 나누는 경기분도론에 대한 지역사회의 온도차가 커 왔다. 찬성하는 측에서는 남부와 북부간 재정수준 및 인프라 차이 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분도를 통해 수도권에서 제외시켜야 한다고 주장이고 반대측에서는 분도를 할 경우 외려 북부지역의 여건이 더 열악해질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더구나 정치 일각에서라지만 이런 분도는 자칫 게리맨더링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보탰다. 이번에도 선거 전 정치적 합의 실패로 분도는 무산될 가능성이 크다. 합의점을 찾는 솔로몬의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