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60 세대가 은퇴를 앞두고 고용불안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이들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패키지 프로그램이 개발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5일 경기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50·60 세대 실직과 은퇴에 대비하는 일자리 안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고령사회에서 50·60 세대 노동력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않으면 향후 전체 인구에서 비경제활동인구 비중이 증가해 결국 국가 경제 전체의 활력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될 가능성이 높다.

통계청은 2016년 기준 국내 50·60 세대 인구를 1천340만명으로 집계했다. 이는 생산가능인구의 30.9%다. 2025년에는 31.5%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 세대는 단순노무자 비중이 높고, 50대 근로자 중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격차는 2016년 기준 233만 원으로 전 연령대 중 격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석현 경기연 연구위원은 “50·60 세대 불안정한 일자리는 사회적 소외, 노인빈곤 문제로 이어져 복합적인 사회문제를 촉발할 우려가 있다”며 “청년과 노인의 정책 사이 사각지대에 위치했던 50·60 세대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경기도형 맞춤형 서비스 패키지 프로그램 등 일자리 지원방안 개발 ▶일자리 전달체계 구축 ▶경기도 50·60 세대 소상공인·자영업자 역량 강화 ▶50·60 세대 일자리 질 개선 ▶사회공헌형 일자리 확대 등을 제안했다.

이어 “우리나라 노인빈곤 문제는 50·60세대 근로능력 감퇴와 충분한 경제적 자원이 없는 상태에서 은퇴기를 맞이한 것이 원인”이라며 “근로의욕이 있는 50·60 세대를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 및 직업훈련 서비스 확대에서부터 은퇴에 필요한 자산관리 서비스까지 종합지원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오정인기자/jioh@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