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예산 0원'
DB활용 안돼 관광·교통정책 등 시 추진사업 '단발성 전락' 우려
내년 1월 실무협의체 구성도… 해수부 "활발한 사업추진 기대"

4차 산업혁명의 기반이되고 행정에 대한 접목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인천의 ‘빅데이터’ 활용이 다른 시도에 크게 뒤처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매년 수십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관광과 버스 이용, 축제 등 수백건의 빅데이터를 축적·활용하고 있는데 반해 인천은 일회성 사업에 그치고 있다.

15일 인천시에 따르면 올해 구축하려 했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예산 8억 원이 전액 삭감됐다.

플랫폼은 자료를 분석하고 정보를 축적하기 위한 공간으로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 필수적인 데이터베이스(DB)다.

플랫폼이 없으면 시가 추진해왔던 공공혁신과 관광, 교통 정책 등 빅데이터 사업에 정보 축적과 분석이 단발성 사업에 그칠 수 있다.

빅데이터가 제대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최소 수년에서 최대 수십년간의 데이터가 확보돼야만 제대로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해 시의 빅데이터 예산은 2억 원에 그쳤고 올해는 이슈와 트렌드 분석 등 단편적인 사업으로 배정된 예산은 1억1천300만 원에 불과하다.

사기업 등 외부에서 데이터를 구매하는 비용이 5천만~1억 원이 드는 만큼 시가 배정한 예산은 터무니 없이 부족한 셈이다.

또 데이터 축적·활용에 최소 5년 이상이 걸리는만큼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데 인천은 인력과 예산 등이 미미하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빅데이터 활용에 예산과 인력을 대폭 확충하고 있다.

지난해 각각 35억 원과 52억 원의 예산을 편성하는 등 대규모 빅데이터 사업을 수년째 진행해 오고 있다.

빅데이터를 담당하는 행정 인원도 수십명에 달해 인천시 3명과 비교하면 10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이같은 격차는 향후 4차 산업 혁명과 시민들의 삶의 질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빅데이터는 사물인터넷과 스마트시티, 정보통신기술(ICT) 등 4차 산업 혁명을 구현할 수 있는 핵심 수단이다.

다른 도시는 앞다퉈 자신들이 조사한 자료를 축적·공개하고 있다.

서울시가 최근 발표한 ‘생활인구 통계 지표’ 서비스는 모두에게 공개됐는데 산업과 행정을 넘어 시민들 생활에 직접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시 관계자는 “빅데이터에 대한 효용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지만 투자는 전무한 상태”라며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통해 정보의 축적·활용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길호기자/sgh@joongboo.com

▲ 사진=연합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