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경우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도시문제 및 마을문제가 최근 핵심 아젠다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어느 일방의 문제점을 해결한다고 해서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복합적인 문제의 유형을 갖는다. 최근의 도시문제 및 마을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법론으로 유럽 및 미국에 리빙랩이 떠오르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리빙랩을 도입하여 적용하고 실행하고 있다.

리빙랩이란 기존 공급자 중심의 R&D가 한계를 드러내면서 사용자 참여와 현장지향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이자 문제해결방식이다. 리빙랩은 실제 생활 현장에서 사용자와 생산자가 공동으로 혁신을 만들어가는 실험실이자 테스트 베드를 말한다. 이러한 리빙랩은 우리 마을 실험실, 일상생활 실험실 이라는 뜻으로, 특정지역의 생활공간을 설정하고 공공-민간-시민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자 방식이다.

핀란드, 벨기에, 스웨덴 등 EU 주요국들은 이미 수년 전부터 리빙랩을 도입하여 기술과 사용자의 생활환경을 조화시키고 발전시키는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EU는 2006년 유럽 리빙랩 네트워크(ENoLL)를 조직하여 2017년 현재 400여개의 리빙랩을 운영중이다. 이와 함께 ‘Open Innovation 2.0 전략’을 수립하고 그 핵심 수단으로 리빙랩을 채택하고 있다. 미국은 MIT에서 시작하여 전미로 퍼지고 있으며, 이웃국가인 대만은 2000년대 들어 아시아 최초로 리빙랩을 새로운 ICT 혁신모델 및 실험 플랫폼으로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리빙랩은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취한다. 리빙랩 유형을 추진 주체에 따라 살펴보면, 크게 공공주도형, 민간주도형, 복합형으로 나뉜다. 공공의 경우 산업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중앙정부와 서울 등 지자체, 그리고 정부의 자금지원을 받는 중간지원조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민간의 경우 사회적 경제조직이나 시민사회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추진되는 리빙랩의 경우 풀뿌리 랩(Grassroots labs)이라고도 불린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당수가 지자체나 중간지원조직의 지원을 받아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리빙랩의 특성상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는 복합형인 경우도 많다. 이러한 리빙랩을 활성화 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무엇인가? 필자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해본다.

먼저 리빙랩을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법과 제도 등 기반구축을 해야 한다.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 주도의 하향식 리빙랩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리빙랩을 빨리 확산시키기 위한 중앙정부 개입의 필요성은 인정하겠으나 지역의 참여를 좀더 확대하고 문제를 발굴하여 개선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인프라중심의 지역개발사업 등은 마땅히 개선되야 하며, 이를 위하여 일반시민의 참여 및 역할 확대도 필요하다.

두 번째로 연구자 및 사회적 경제조직 등이 리빙랩에 참여할 수 있도록 사용자 행태를 조사분석하고 사용자와의 공동디자인 작업 수행 등에 요구되는 다양한 툴킷 및 도구를 개발하고 확산시켜야 한다. 문제에 맞는 유관 분야 성과 검색과 활용 가능한 기술 및 관련 전문가, 활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에 대한 DB 구축도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장지향적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일반시민을 포함한 과학기술자, 엔지니어, 디자이너, 심리학자,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등의 연구팀 구성 및 운영을 하고 더 나아가 이들을 위한 매뉴얼을 만들고 교육이 필요하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경우 리빙랩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도 미흡하고 실행프로그램도 미흡하다. 적극적인 매뉴얼 개발과 이를 통한 교육이 필요함은 두말할 나위없다. 리빙랩은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시행초기이다. 선진국에서 발현된 리빙랩운영상의 문제점들을 벤치마킹하고, 한국화 하여 산적한 도시문제와 미을문제를 해결하는 또 다른 우수한 해결 방법론이 되길 기대한다.

김경환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교수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