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에서 유권자들은 저마다 판단의 척도와 가치기준이 있다. 사고력이 있는 사람은 자신의 이해관계를 떠나서 전후좌우와 미래를 생각해서 냉철한 선택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일부 유권자들의 판단과 선택의 기준은 아주 단순하다. 자신과의 이해관계에서 한 가지만이라도 맞아 떨어지는 사안이 발생한다면 그것이 선택의 결정타가 된다. 반면 판단능력이 부족하거나, 정보자료가 없으면 남의 여론을 의식하게 된다.

선거철에 후보자들의 뜨거운 감자는 유권자들의 여론조사에 따른 지지도일 것이다. 선거는 공약과 조직 그리고 여론몰이에서 결정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론조사가 과연 진실성이 있고, 타당한 근거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는가?‘ 하는 의구심이 간다는 것이다.

특히 질문 내용에서 연령별·지역별·성별·직업을 묻는 설문조사는, 유권자들의 분포 성향을 탐색하여 득표를 하기 위한 선거 전략과 수단이지, 지지도나 후보자 선택의 조사에는 타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항간에 떠도는 유권자들의 의식과 여론에는, 언론에서 조사한 수치는 믿을 수가 없다는 얘기다. 언론도 하나의 노조에 속해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주변사람들의 여론에는 정 반대의 생각이라는 일각도 있다.

미국의 지난 대선에서 여론조사는 ‘힐러리’가 계속 오차범위 내에서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나, 선거 2일전에는 ‘트럼프’가 우세한 것으로 조사되어 결국에는 트럼프의 승리로 나타났다.

실제 대면조사를 한 출구조사도 마찬가지다. 15대 총선(1996년)부터 시작된 출구조사는, 5번 연속으로 실제와 다른 상반된 결과를 예측하였다. 15대 총선에선 여당인 신한국당이 과반인 175석을 차지할 것이라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139석을 얻어 큰 격차를 보였다. 2004년 17대 총선도 역시 당시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의 의석을 각각 170석과 100석으로 예측했지만, 실제로는 152석 대 121석으로 그 차이가 너무나도 컸다.

위의 두 가지 조사에는 ±3~5%의 신뢰수준의 오차의 범위는 있지만 그 범위를 벗어나고 있다.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첫째, 질문하는 문맥에 따라서 그 응답이 다르다는 것이다. 즉 “오늘 선거를 한다면 누구를 선택하겠습니까?” 와 “귀하께서는 누구를 지지하십니까?” 로 묻는다면 그 대답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 표집대상의 숫자가 많을수록 정확도가 높은 것인데, 조사 대상의 표집이 적으면 그만큼 신뢰도가 떨어지게 된다. 가장 정확한 조사는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전수조사의 투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는 6.13 지방선거에서 각 정당의 지지도와, 국정운영 지지도 및 그 동안 실시해온 여론조사의 정확성에 대한 진실과 허구성이 들어날 것으로 예견된다. 셋째, 표본의 집단과 응답의 대상이 편협 되었다는 것이다. 노인들은 전화상의 응답을 안 하게 되고, 응답에 답을 할 줄 모르는 사람은 참여를 못하게 되기 때문에 쏠림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관심이 있는 유권자들과 정당인들의 참여만으로 이루어지게 된다는 점이다.

넷째, 요즘의 유권자들은 상대후보의 혼선을 가져오기 위한 목적으로, 의도성을 갖고 정 반대의 답변을 하여 교란작전을 펴는 방해수단의 답변이라는 것이다. 다섯째, 여론조사 기관에 따라서 그 비율이 현격한 차이를 나타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조사기관의 성향과 조사자의 입맛에 맞는 방향으로 몰아가려는 경향이 될 수 있다는 시민들의 생각이다.

유권자 여러분!

선거는 자신의 가치기준과 판단의 척도에서 후보자의 선택이 결정되고 있다. 선거는 국민들의 의견을 물어, 국론의 중지를 모으려는 수단이다. 여론조사는 하나의 참고 사항일 뿐이지 내 자신의 생각은 아니다. 그렇다면 ‘여론조사만으로 당락을 가르면 어떨까?’ 하는 생각도 든다. 그것은 허구다. 따라서 유권자들은 이를 의식하지 말고, 자신의 소신과 철학을 갖고 자신이 원하는 후보에게 투표를 하면 당선이 될 것이고, 자신의 이해관계와 목적을 달성하게 될 것이다. 이것이 자신과 지역사회를 위하는 길이다.


이세재 칼럼니스트, 평택서부노인복지관 운영위원장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