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혁신 전략으로 다양한 주체가 동등하게 참여하는 커먼스(commons, 공유재) 기반 ‘도시공유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4일 경기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의 혁신 체계인 ‘공유 플랫폼’ 선진 사례를 살펴보고, 한국형 혁신 플랫폼을 제안한 ‘4차 산업혁명 혁신에 성공하려면: 한국형 도시공유 플랫폼을 구축해야’ 보고서를 발표했다.

미국은 스마트시티 플랫폼 GCTC(Global City Team Challenge)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해 기존 스마트시티 사업의 예산중복 및 산발투입, 시장의 확장성 부족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일본 동경 가시와노하 스마트시티는 대기업 주도 개발을 허용하되 산·학·연·관·민이 협력해 개발계획을 수립·추진하는 혁신 창업 플랫폼을 구현하고 있다.

국내 혁신 체계는 미국과 일본에 비해 혁신 과정에서의 공공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 주도의 창업지원과 첨단 도시개발은 성과가 미미해 지속가능한 플랫폼 구축, 수익모델 창출, 비즈니스 생태계 형성이 취약한 상황이다.

이정훈 경기연 연구기획본부장은 “국내의 경우 기존의 성장모델에서 벗어나지 못해 4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혁신모델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의 성공적인 혁신을 위해 다양한 혁신 주체가 동등하게 참여하는 하이브리드형 조직인 ‘도시공유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경기도형 혁신 공유 플랫폼 구축 방안으로 ▶다양한 혁신 주체가 참여하는 스마트시티 공유 플랫폼(Gyeonggi Open Platform for Samrt City) 구축 ▶창업과 도시개발에서 민간 역할을 강화한 공유 플랫폼 구축 ▶판교, 일산 등 테크노밸리와 도시재생 대상지구의 테스트베드화 등을 제안했다.

오정인기자/jioh@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