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가 보도한 용인시의 민낯은 그야말로 두 개다. 겉으로는 멋진 경전철 같은 새로운 교통 수단이 존재하는 신도시의 변모지만 실상 그 안에서는 난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어서다. 언제부터인가. 용인시는 경전철 추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정확히는 1994년 들어선 수지1지구를 시작으로 수지구 일대 준농림지역인 주택단지 개발이 불가한 곳을 준도시지역으로 바꾸면서다. 이어 벌어진 대대적인 택지개발은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수원시와 맞닿은 광교산 자락의 신봉·성복지구까지도 그 개발도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택지개발은 풍덕천동 일대 추진 중인 노인복지주택 사업 등 현재까지도 진행중이어서 어디부터 손을 댈지 조차 불분명한 상태다.

결국 용인시가 난개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목적으로 개발과 관련한 각종 위원회 재편을 추진한다는 소식마저 들어오고 있다. 어디까지 백군기 시장의 ‘난개발 없는 친환경 생태도시 조성’을 핵심공약에서 비롯된 난개발 조사 특별위원회 구성에 이은 조치다. 물론 이번의 난개발 방지대책은 개발 관련 위원회의 편성 자체가 잘못되면 아무것도 안 된다는 백 시장의 의지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심지어 백 시장은 결론 다 내놓고 심의하면 무슨 의미가 있느냐는 지적마저 했다. 그래서인지 각 실·국으로부터 위원회 편성에 대한 보고를 받아보고 필요하면 재편을 추진한다는 각오를 밝히기도 했다.

앞다시피 용인시는 1994년 20만 명에 불과하던 인구 수가 23년 만인 지난해 ‘100만 도시’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수지·기흥지역에 집중된 대규모 택지개발과 산업단지 조성이 주요 요인이었다. 하지만 해당 지역 주민들은 정작 무분별한 난개발로 인한 온갖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비단 이런 대규모 주택단지 방식 뿐만 아니라 산수가 좋은 고기동 일대는 소규모 전원주택단지 방식으로도 무분별한 개발이 계속되고 있는 형편이다. 왜 이렇게 됐을까. 그것은 정확히 짚어내기는 어려워도 행정의 무책임과 개발자의 이익이 맞아 떨어진 이유가 가장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늦게나마 시가 각 위원회의 편성 상태를 점검해 중복되거나 개발 성향 인사 위주로 위원구성이 치우쳤는지 등을 점검해 개선하기로 했다는 얘기는 무척 고무적이다.

사실상 용인시는 난개발이 자라날 최적의 환경에 있다. 하지만 그 결과는 주민들이 몽땅 떠안게 됐다. 그래서인지 그 오명을 씻어내기 위해서는 제도적 치유도 불가피하다는 생각이다. 늦었지만 이런 난개발 현황 파악 및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특별위원회도 구성됐다. 한편 시청 감사관·도시계획상임기획단·산업단지와 건축 관련 부서의 과장들로 실무추진단도 구성됐다는 소식이지만 자칫 그 밥의 그 나물격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솔직히 감출수가 없다. 그 이유는 모든 난개발이 그 안에서 이뤄진데 있다. 정작 문제는 신봉동 일부처럼 진입도로가 제대로 조성되지 않은 채 개발허가가 나는 과정이다. 교통문제와 보행안전 문제가 당연히 떠오르고 있다. 전원주택단지라는 미명아래 깎여가는 산허리를 보며 이것이 진정 주민을 위한 개발인지 생각해 볼 때가 온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