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밭길의 예고였다. 어제 자유한국당이 알려진대로 김병준 국민대 명예교수를 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으로 의결했다. 김병준 위원장은 한마디로 앞으로의 의지를 표현했다. “계파논쟁·진영논리 앞세우는 정치 인정하라고 하지 마라” 의미 있고 듣는 이에 따라서는 섬뜩했을 얘기다. 하지만 한국당내 이념적 좌표 정립부터 계파 해소까지 모든 길은 지금 그야말로 첩첩산중이다. 우리는 한국당이 국회 의원회관에서 전국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혁신비대위원장 선출 안을 박수로 의결한 그 이후를 주목하고 있다. 그간 유시민이나 심지어 이국종 아주대 교수 같은 이름까지 거론된 비대위원장 후보였지만 이제 김 위원장이 6·13 지방선거 참패로 최악의 위기에 내몰린 한국당을 재건하는 중책을 떠안게 되면서다.

듣기에 따라 김 위원장의 한국정치를 계파논리와 진영논리에서 벗어나게 하는 소망과 미래를 위한 가치논쟁과 정책논쟁이 정치의 중심을 이루도록 하는 꿈을 갖고 있다는 수락연설은 판에 박힌 듯이 들려올 수 있다. 그러나 지금 한국당의 엄중한 상황은 가장 뼈아픈 부분부터 도려내야 살 수 있다는 현실을 모두가 알고 있다. 그것이 계파논리이고 진영논리란 얘기 일 수 있다. 이 오래된 계파논쟁과 진영논리는 그간 현실정치를 앞세워 끓임 없이 정당안을 헤집고 다니며 때로는 모든 것을 부패하게 만들어 가는데 일조했다. 그렇다면 그 안의 의원들이 이를 모르고 있었을까. 그것은 아니다. 그 때마다 적당히 넘어가면서 위기만을 모면한 지금의 결과를 보면 금새 알 수 있다.

오죽하면 김 위원자은 차라리 그렇게 싸우다가 오히려 죽어서 거름이 되면 그것이 자신에게 영광이 된다고 생각했는지 되짚어 보게 된 대목이다. 물론 비장한 각오로 한국당의 앞날을 수술해야 하는 김 교수가 비대위원장으로 의결됐다고 해서 당내 갈등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 지나야 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많아서다. 우선 그 지긋지긋할 비대위원 인선 과정에서 또다시 계파 갈등이 재연될 것이 뻔하다. 그러다보면 결국 비대위가 계파별 나눠먹기로 구성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더구나 비대위가 성공적으로 출범해도 비대위원장의 권한과 활동 기한 등을 놓고 분명 갈등이 벌어질 수 있다.

물론 처음부터 김성태 대표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비대위가 혁신을 주도할 수 있도록 김 위원장에게 전권을 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친박계를 포함해 일부 잔류파 의원들이 비대위의 역할이 단순히 관리형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고 맞서 앞으로 상당한 걸림돌로 작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래가지고는 아무것도 안된다. 김 원내대표의 말처럼 전권을 위임해도 시원치 않을 한국당의 형편이다. 당장 여당이 못하는 경제민생 중심으로 당 노선을 확립하면서 계파 갈등같은 것들을 해소해 나가야 하는 책임도 비대위원장에게는 있다. 김 위원장의 경험은 인정됐다. 노무현정부 대통령 정책실장, 또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박근혜정부의 말기 에서도 국무총리 후보자로 지명받은 바 있다. 완벽할 수는 없어도 이제 한국당의 앞날은 그의 의지에 달려있다. 그리고 의원들도 백지상태로 협조해야 당이 살고 자신들도 살 수 있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