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송영길은 ‘평화’, ‘경제’, ‘통합’이라는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새로운 시대, 새로운 더불어민주당을 만드는 이번 전당대회에서 당원 동지들이 이 강점을 충분히 알아주실 것으로 믿습니다.”

8·25전당대회에서 당대표에 도전한 송영길 후보(인천 계양을)는 16일 중부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구상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국제외교역량을 갖추고 북방경제와 남북경제를 연결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낼 수 있는 후보, 친문과 비문을 넘어 민주당의 통합을 이끌 후보는 자신 밖에 없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당 대표 출마를 결심하게 된 이유도 언급했다.

송 후보는 “중심이 없으니 자연히 당 내 계파들 간의 갈등은 고조됐고, 경제 문제에 있어서도 전문성을 가진 당 대표가 절실히 필요했다”며 “한반도의 평화, 경제 활성화, 당과 대한민국의 통합이라는 3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마를 결심하게 됐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본인만이 갖춘 세가지 경쟁력은?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 문제는 교착 상태에 빠져 있다. 북한은 핵무기의 포기를 제시했지만, 미국 상하원은 북미정상회담 합의를 비준하지 않고 있다. 저는 북방경제협력위원장을 역임하며 직접 문 대통령과 함께 외교실무를 진행해 왔고, 각국에 인적 네트워크를 구성했다. 미국 국회를 설득하고 중국·러시아 등과 함께 북한의 개방을 앞당겨 한반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글로벌 외교 역량을 가지고 있다. 또 인천시장을 역임하며 매일 이자만 11억 원씩 지불하던 인천재정을 정상화시켰다. 전 국민의 주거문제를 해결할 ‘누구나집’ 프로젝트를 제시했고, 문 대통령의 신한반도 경제구상을 완성시킬 수 있는 적임자다. 또한 통합을 이끌어낼 수 있는 후보다. 1963년생 56세로, 민주당 제20대 국회의원 평균 연령이며 청년층과 노년층을 이어주는 나이대다. 호남 출신으로 영남 출신인 문 대통령과 함께 지역을 통합할 수 있고, 당내 계파에서도 자유롭다. 문 대통령이 대선 당시 총괄선대본부장으로 임명했던 것도 친문·비문을 넘어 당을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후보들 모두 혁신을 말한다. 선출 이후 당 혁신 방안이 있다면?

“우선 당헌당규에 의거해 선거 1년 전까지 공정한 공천 시스템을 확립하겠다. 공천·인사에서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문 대통령의 일성처럼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며, 정의로운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유일한 해법이 될 것이다. 최재성 의원이 제시했던 시스템 공천안을 비롯해 다양한 안을 검토하겠다. 청년층의 정치참여도 확대하겠다. 현재 당 내 30대 의원을 찾아보기 어렵다. 정당도 꾸준히 새로운 인물들을 육성하고 영입해야 혁신을 이룰 수 있다. 당대표가 되면 능력 있는 청년을 기르는 인큐베이팅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겠다.”



-최저임금 파동 등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해결책은?

“경제 질서 확립이 그 해답이라고 본다. 소위 ‘갑질’로 불리는 대기업의 전횡으로 인해 최저임금 인상의 여파를 가장 크게 느끼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여유가 없다. 대기업들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게 제 가격을 지불하는 경제구조를 확립하고, 불공정한 행위를 강력히 금지한다면 소득주도성장은 국가 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는 정책이 될 것이다. 물론 이러한 경제 질서가 확립될 때까지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여유가 있는 대기업들이 사내유보금을 쌓는 것보다 투자를 늘리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세계은행이 지난해 10월 31일 발표한 ‘2017년 기업환경평가’에서 한국은 4위를 기록했다. 투자할 상황이 아니라는 대기업들의 주장은 변명에 불과하다고 본다.”



-지방분권 강화를 위해 어떤 복안을 갖고 있나.


“지방분권 강화의 핵심은 예산과 일자리가 될 것이다. 당장 2018년 기준 전국 평균 지방자치단체 예산자립도는 53.4%에 불과하다. 때문에 중앙정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수밖에 없고, 지자체의 핵심 업무도 중앙정부를 상대로 예산을 확보하는 일이 되어 버렸다. 현행 8대2인 국세 대비 지방세 비율을 6대4로 조정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 공정한 예산교부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중앙정부에 당당히 할 말을 하는 지방정부를 만들겠다. 지역인재 규정도 재검토하겠다. 현재 혁신도시법은 혁신도시에서 태어나 초·중·고교를 마쳤지만 다른 지역의 대학을 졸업했다면 지역인재 우선고용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다. 지역에 대해 깊은 이해가 있는 토박이 인재들의 U턴이 불가능한 것이다. 관련 법률들을 개정해 우수한 인재들을 지방으로 유치하고, 이를 통해 지역의 활성화를 꾀할 것이다.”

라다솜기자/radasom@joongboo.com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