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중소기업이 스마트팩토리를 제대로 도입하려면 독일처럼 기업이 스스로에게 맞는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도록 도와야 한다는 정책 제안이 나왔다.

중소기업연구원의 김광희 수석연구위원은 19일 발간한 ‘한·독 스마트팩토리 정책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정부의 스마트팩토리 추진 정책 강화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들의 인식은 여전히 부족하다”며 이같이 주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소기업들은 스마트팩토리와 관련해 투자가 매몰비용이 되거나 공급기업의 기술수준이 미흡하다는 우려가 큰 상황이다.

이에 따라 현재 진행 중인 스마트팩토리 보급사업은 낮은 단계의 생산정보 디지털화 수준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반면 독일은 스마트기술의 산업현장 적용 및 확대를 위한 ‘중소기업 4.0’ 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23개 ‘중소기업4.0-역량센터’를 구축해 기술 이전을 돕고 있으며, 350여 개 모범사례를 상세히 소개해 스마트팩토리 구축 효과를 안내하고 있다.

연구개발(R&D) 과제 추진에서도 중소기업의 투자 회수성을 고려해 실제 중소기업에 적용 가능한 솔루션과 기기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이 같은 독일의 사례에 비춰볼 때 우리 스마트팩토리 보급사업의실효성을 제고하려면 정보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중소기업이 구축비용 및 효과에 대해 확신하도록 해 투자의 불확실성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관련 우수 연구소 및 기업을 중심으로 지역별 컨설팅센터를 지정, 운영해 컨설팅 역량을 대폭 강화하고 모범사례 및 학습형 스마트팩토리를 확대해 기업의 투자마인드 및 학습기회를 제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모듈형 제품 보급을 확대해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는 방안도 내놨다.

김 연구위원은 “스마트팩토리 선진국과 교류를 통해 수요기업에는 학습기회를, 공급기업에는 해외진출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며 “신규 인력 양성과 기존 인력 재교육을 통해 전문 인력도 확충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