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 對 222’ 2014년 9월 1일 경기도에서만 시행된 ‘9시 등교’ 정책에 동참, 불참한 학교 숫자다. 정확히 표현하자면 9시 등교에 찬성, 거부한 교장 숫자다. 초·중·고 교장 2천250명중 90.1%(2028명)가 자의 든 타의든 권한을 9시 등교 쪽에 행사했다. 나머지 222명중 79명도 이달중에 동참 대열에 합류한다. 이재정표 ‘9시 등교’는 연착륙한 모양새다. 졸지에 독립군이 된 교장 143명(6.4%)은 온갖 핑계로 저항중이지만, 얼마 버티지 못할 것 같다. 그들에겐 12척의 배가 남아있다는 상소(上疏)조차 올릴 곳이 없다. 밖에서만 뜨거웠던 논쟁은 이렇게 싱겁게 끝났다.

공짜급식에 이은 9시 등교 논란은 또 한번 우리 사회를 둘로 갈라놨다. 학생은 ‘반색’(푹 자고 아침먹고 등교했다), 학부모는 ‘정색’(도대체 어쩌자는 것인지 모르겠다), 교총은 ‘사색’(경기지역 교원 83%가 9시 등교를 반대한다), 전교조는 ‘화색’(학생들의 건강권을 보장하는 의미에서 환영한다)한다. 내 나라 제1야당의 원로답게 이재정의 교치(敎治)는 학생과 학부모, 교총과 전교조를 양단냈다. 이 교육감에게 9시 등교가 필생의 치세(治勢)였다면, 인사권을 앞세워 5, 6공때처럼 밀어붙이면 그만이었다. 학업이 의무인 학생에게 더 잘래, 공부할래 물어본 것 자체가 난센스다. 학교 앞에서는 한없이 작아지는 학부모에게 더 재울래, 학교 보낼래 택일하게 한 것 자체가 매카시즘적이다.

일선 학교는 이제 ‘9시까지냐’, ‘9시냐’하는 딜레마를 해결해야 한다. ‘9시까지’라면 지금껏 떤 요란은 모두 사치다. 학교 종은 50년 전에도, 닷새 전에도 오전 9시 정각에 울렸다. ‘9시 정각’이라면 몇 분 전에 교문을 열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20, 30분 일찍 등교하는 학생을 학교에 들일 것인지, 내칠 것인지 정해야 한다는 얘기다. 애들 잠 잘 시간 더 주려는 목적을 달성하려면 일찍 등교하는 학생을 교문에서 막아야 정책의 정당성이 확보된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근면성실한 학생과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나사빠진 학생의 차이가 없어졌다. 집안 꼴 잘 돌아간다.

‘41 對 25’ 2014년 8월 25일 경기도에서만 성사될뻔했던 야당 몫 사회통합부지사 추천(파견)에 반대, 찬성한 경기도의원 숫자다. 정확히 표현하면 도의회 다수당인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도의원들이 행사한 표수다. 표결에 참여했던 69명중 25명(36.2%)만 찬성했다. 나머지 41명(59.4%)은 불과 몇 시간 전 부지사를 파견하기로 결정한 같은 당 국회의원들에게 반기를 들었다. 남경필표 ‘연정’은 경착륙도 힘들어진 모양새다. 낙관론에 빠져 표 대결을 불사했던 당 지도부와 당권파는 졸지에 큰 내상을 입었다. 불과 20일 전 연정 합의서에 서명한 당 지도부는 지금까지 인내하며 기다려온 50.4%에게 그 흔한 유감 표명 한마디도 못하고 있다.

반면, 결정적 순간에 당 지도부를 물 먹인 비(非)당권파는 마이웨이 모드다. 연정의 상징이자, 담보인 사회통합부지사를 금기어로 만들어 놓고, 야금야금 달콤한 열매만 탐한다. 생활임금조례를 얻었다. 언감생심이던 인사청문회도 쟁취했다. 연정 보따리에 남아있는 18가지 열매도 곳감 빼먹듯 취하려 들 게 뻔하다. 당장 오늘(4일)부터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장 내정자 4명을 한꺼번에 인사청문회장에 세웠다. 온갖 핑계로 국회를 멈춰 세운 제1야당의 강경파를 닮은 그들에게 당 지도부는 재선의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당 지도부는 이쯤해서 연정 자체를 파기할지, 부지사를 파견하고 이어갈지 다시 한번 결단을 내려야 한다. 더 머뭇거리면 당직에서 스스로 물러나야 하는 상황까지 내몰릴 수도 있다. 집안 꼴 잘 돌아간다. 한동훈 정치부장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