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되던 날 늦은 오후! 해가 막 질려는 동경시내의 어느 언덕길을 어떤 한 노인이 눈물을 흘리며 혼자 미친 사람처럼 무어라고 중얼거리면서 걸어가고 있었다. 뒤 따라 가던 김소운(金巢雲)선생은 궁금하여 가만히 다가가 엿들었다. 그 할아버지가 눈물 흘리며 중얼거린 소리는 “조선아! 조선아! 너 어디 갔다 이제 왔느냐! 조선아! 너 어디 갔다 이제 왔느냐!”였다.

이 얘기를 전해 준 김소운 선생은 자의반 타의반으로 일본에 머물면서 집필한 자신의 유명한 ‘목근통신(木槿通信)’에서 “내 어머니는 레프라(문둥이)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나는 우리 어머니를 클레오파트라와 바꾸지 않겠습니다”라고 조국에 대한 애타는 목마름을 절규하였다.

이름 모를 노인은 해방으로 조선을 되찾은 기쁨을 노래 한 것이요 김소운 선생은 되찾은 조국에 대한 사랑을 고백한 것이다. 조국이 비록 헐벗고 굶주리고 반 토막이 난 채로의 더러운 문둥이 같은 조국이지만 자신에게는 “어느 극락정토(極樂淨土)보다도 더 그리운 어머니의 품”이라고 외치고 있다.

지금까지 이들이 조국에 대한 사랑을 노래하고 있었을 때에 조국을 되 찾는데 앞장섰던 백범(白凡)김구(金九)선생은 조국의 미래를 얘기하고 있었다.

백범은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라는 글에서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라고 자신의 소원을 밝힌다. 그러면서 그는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덧붙인다. “민족의 행복은 결코 계급투쟁에서 오는 것은 절대 아니다”라는 점을 못 박으면서 세계에서 가장 부강한 나라보다는 가장 아름다운 나라! “오직 한없이 갖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 바로 그러한 문화의 힘으로 세계평화의 중심축이 되는 것을 소원 하면서 백범은 쓸어졌다.

해방된 조국의 초대대통령으로 선출된 우남(雩南) 이승만 대통령의 정치적 이상은 또 어떠했는가? 그는 자신의 취임사에서 “어느 나라던지 우리에게 친선(親善)히 한 나라는 우리가 친선히 대우할 것이요. 친선치 않게 우리를 대우하는 나라는 우리도 친선히 대우할 수 없을 것입니다”아울러 그는 “부패한 정신으로 신성한 국가를 이룩하지 못하나니 새로운 정신과 새로운 행동으로 구습(舊習)을 버리고 새 길을 찾아서 날로 새로운 백성을 이룸으로서 새로운 국가를 만년 반석위에 세워 나가자”고 역설하고 있다.

필자는 여기서 이름 없는 백성들도 왜정 때에는 얼마나 독립을 갈구하면서 나라사랑에 목말라 하였는가를 그리고 지도자들 또한 얼마나 깊은 사상적 통찰력으로 장차 세워질 나라의 미래의 모습을 그리고 있었는가를 다시 한 번 되 뇌이고 싶었던 것이다.

독립과 정부수립이후 반세기만에 괄목할만한 발전으로 세계 10위권을 넘나드는 무역대국이 되었지만 나라사랑하는 국민들의 마음은 예전같지 않다는 느낌 때문이다. 백범이 꿈꾸었던 문화대국의로의 꿈은 아직도 요원하고 우남이 바라던 날로 새로운 나라 되도록 하자던 다짐도 이제는 박물관에서조차 볼 수 없게 되지 않았나 싶다.

그러나 곰곰 생각해 보면 그리 걱정할 일은 아닌듯 하다. 언제 한번 우리 국민들이 나라 사랑하지 않은 적 있으며 나라 위급할 때 앞장 서지 않은 적 있었던가 해서다. 임진왜란 때도 그러했고 일제의 침탈 시에도 그러했다. 왕족은 뒷걸음을 쳤어도 백성은 그러하지 않았다. 오죽 했으면 군주에게 자결하라고 까지 외쳤을까!

홍주의 의병장 이설(李楔)선생같은 이와 헤이그 밀사로 유명한 이상설 선생 또한 을사5적 척결을 주장하면서 고종황제에게 순국할 것을 호소하기도 했다. “존경하는 폐하! 주저치 마시고 폐하 스스로 목숨을 끊어 온 백성이 그 뒤를 따라 전원이 사생결단으로 왜적을 무찌르는 길 밖에 없습니다”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만치 많은 순국선열들과 의사 그리고 의병들과 애국지사가 있어 우리의 오늘이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우리의 앞날이 결코 어둡지만은 않다고 믿어진다. 나라의 경제가 어려워지면 <담바고 타령>과 금반지 모으기로 그 어려운 고비를 극복해 온 저력 있는 민족 아니던가!

이 저력을 바탕으로 우남과 백범이 함께 꿈 꾼 “나날이 새로워지는 아름다운 나라”로 웅비할 수는 없을까? 어쩐지 나라의 역동성이 시들어 가는 것 같아 하는 얘기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70주년을 마지하면서 느끼는 소회다.

 

김중위 전 환경부 장관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